-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지하 동굴에 달 기지를 짓는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092호 2024년 09월 02일여러분은 여행을 좋아하나요? 낯선 풍경, 낯선 사람들로 가득한 곳은 두렵지만, 설렘도 가득합니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우리는 전 세계 곳곳으로 여행을 떠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아무나 갈 수 없는 곳이 있는데요. 바로 지구 밖 ‘우주’입니다. 아직까진 달로 떠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인류는 달 여행을 넘어서 우주비행사들이 머물 수 있는 달 기지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하지만 달에는 여러 가지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기지를 세우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사람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동굴’을 찾아 나서고 있다고 해요. 그런데 왜 하필 동굴일까요?
왜 선사시대 사람들처럼 동굴에서 살아야 할까?
지구는 질소, 산소 등으로 이뤄진 대기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그래서 일정한 기온을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답니다. 그리고 오존층이 백내장과 암처럼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우주방사선을 막아줍니다. 심지어 우주에서 날아오는 운석도 대기에 부딪혀 사라지거나,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우리에게 큰 피해를 미치지 않습니다.
반대로 달 표면에는 대기가 거의 없습니다. 그로 인해 낮에는 달 표면의 온도가 무려 127℃까지 올라가지만, 밤에는 영하 173℃까지 낮아집니다. 또한 달 표면의 우주방사선 수치는 지구보다 150배나 높습니다. 달 표면에 운석이 충돌해 만들어지는 크레이터가 많은 것 역시 대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달 표면에는 사람이 살기 힘들며, 안전한 우주기지를 만들기 위해선 많은 재료가 필요하답니다. 또 기지를 만든다 해도 운석 충돌로 인해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아요.
이에 과학자들은 선사시대 사람들처럼 달의 ‘동굴’에 기지를 세우자고 주장하고 있어요. 두꺼운 암석 벽으로 이뤄진 동굴은 외부와 차단돼 있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요. 심지어 우주방사선과 운석 충돌도 막아주기에, 우주비행사들이 안전하게 지낼 수 있답니다.
50년 만에 지하 동굴 발견! 달 기지의 꿈이 가까워진다!
그렇다면 달에는 우주기지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큰 동굴이 있을까요? 과학자들은 지난 50년간 동굴과 연결됐을 가능성이 큰 구덩이를 약 200개 정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이 구덩이들이 동굴과 연결돼 있는지까지는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탈리아의 트렌토대학교 연구팀이 달 표면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던 중, 지하 동굴로 통하는 입구를 찾아냈습니다. 동굴의 입구는 인류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유인 우주선,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고요의 바다’에 있는데요, 지하 130m 아래의 대형 동굴과 연결돼 있어요. 이 동굴의 크기는 대략 테니스장 14개로 무척 거대하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이번에 발견된 동굴이 달의 적도, 사람으로 치면 허리띠 부분에 있다는 점입니다. 적도 지역은 태양 빛과 열을 많이 받기 때문에 얼음이 만들어지기 어려워요. 즉 우리에게 필요한 물을 얻기 힘듭니다. 그렇지만 적도에 달의 동굴이 있다면, 물을 얻기 쉬운 달의 극지방에도 동굴이 있지 않을까요? 이번 연구 결과 덕분에 과학자들은 다른 동굴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를 하게 됐답니다.
앞으로도 과학자들은 우주비행사들이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동굴을 찾아 나설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를 위해 동굴 탐사용 로봇을 개발하고, 우주비행사들이 동굴에서 잘 지낼 수 있도록 훈련할 예정이에요. 과학자들의 탐사와 기술 개발이 계속된다면, 달 기지도 먼 이야기가 아닌 가까운 미래가 될 것 같습니다.
달에서 지하동굴 첫 발견 기지로 쓸 수 있을까?
동굴안이라 일교차가 크지 않네!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1학기 과학 - 태양계와 별
6학년 1학기 과학 - 지구와 달의 운동
5학년 1학기 과학 - 태양계와 별
6학년 1학기 과학 - 지구와 달의 운동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KISTI의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여러분은 ‘로봇’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우리는 영화나 만화에서 흔히 본 것처럼 금속과 배터리, 모터 등 기계로 이뤄진 것을 로봇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런데 조만간, 사람과 같은 피부나 근육으로 만들어진 로봇이 등장할지도 모르겠어요. 과학자들이 ‘바이오 하이브리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거든요. 사진 1. 과학자들은 사람의 세포나 조직을 이...
-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눈으로 뒤덮인 극지를 보면, 금방이라도 손발이 얼어붙을 것 같아요. 그런데 북극에 살고 있는 북극곰은 따뜻한 옷을 입은 것도 아닌데, 강추위에도 멀쩡합니다. 심지어 물속에 들어갔다 나온 후에도 털이 얼어붙지 않아요. 추운 겨울, 머리카락을 제대로 말리지 않고 나가면 머리카락이 곧바로 얼어붙는 우리와 딴판인 셈이죠. 그렇다면 북극곰의 털은 대체 왜 얼어...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그려낼 스피어엑스
- [과학향기 Story] 어디서든 인터넷을 쓸 수 있다…스타링크, 한국 통신 시장 뒤엎나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Story] 칠흑같이 깜깜한 우주…그래서 얼마나 어두운데?
- [과학향기 for Kids] 소행성으로 우주 식량을 만든다? 미래 우주 식량
- [과학향기 for Kids] 거제에서 첫 발견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 [과학향기 for Kids] 지구 밖에도 생명체가 있을까? 유로파 탐사선 출발!
- [과학향기 Story] 스페이스X 스타십, 집으로 돌아와 주차까지 완료!
- [과학향기 for Kids] 지구에도 아름다운 고리가 있었다?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인간들은 멀리 있는 달은 고사하고 달보다 5.4만분의 1도 안되는 심해 6.500M 도 못내려 갔다. 가까이 있는 곳이라도 얼른 조사하렴. 그래도 달에는 수십명이 다녀왔잖아.
2024-09-02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