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상처가 아니라 통증 때문에 죽는다?

<KISTI의 과학향기> 제520호   2006년 11월 06일
군인들은 전쟁터로 나갈 때 진통제를 소지한다. 심각한 상처를 입은 군인들에게 상처 치료보다 더 급한 것은 통증 감소일 수 있기 때문이다. 부상이 심하면 상처 때문이 아니라 통증 때문에 쇼크로 죽을 수 있다.

이 사실은 통증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지만, 그렇다고 통증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사실 모든 통증은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배가 아프다는 건 위장 기관이, 다리가 아프다는 것은 다리가 쉬고 싶다는 몸의 신호다. 통증이 없다면 우리는 아픈 부위를 깨닫지 못하다 치명적인 상처를 입거나 질병에 걸리게 될 것이다. 야누스의 얼굴처럼 고통과 유익을 함께 주는 통증은 어떻게 느끼게 되는 것일까?

통증은 몸의 곳곳에 분포한 ‘통점’이 자극을 받아서 ‘통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할 때 느낀다. 통점을 구성하는 세포의 세포막에는 ‘채널’이라 불리는 세포소기관이 있는데, 이 채널을 통해 세포의 안과 밖으로 여러 물질들이 오가면서 세포 사이에 다양한 신호를 전달한다.

인체의 부위가 손상되면 칼륨이온, 세로토닌, 히스타민 등의 통각 유발물질이 만들어지는데, 이들이 채널을 통해 세포 안으로 들어오면서 세포는 통증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채널로 치통, 피부염, 관절염 등의 염증성 통증에 관여하는 ‘캡사이신채널’이 있다. 이 외에도 상처를 입었을 때, 화상을 입었을 때 등 통증의 종류별로 다른 채널이 존재한다.

통점의 세포에서 인식한 통증신호는 통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된다. 재미있는 사실은 통각신경이 다른 감각신경에 비해서 매우 가늘어 신호를 느리게 전달한다는 것이다. 압각이나 촉각 등이 초속 70m로 전달되는데 비해 통각은 초속 0.5~30m정도다. 예를 들어 몸길이 30m인 흰긴수염고래 꼬리에 통증이 생기면 최대 1분 후에 아픔을 느낀다. 실제 우리가 압정을 모르고 밟았을 때 발바닥에 깊이 들어간 다음에야 아픔을 느낄 정도로 통각은 전달 속도가 늦다.

통각신경이 다른 감각신경에 비해 가는 이유는 더 많이 배치되기 위해서다. 피부에는 1㎠ 당 약 200개의 통점이 빽빽이 분포하는데, 통각신경이 굵다면 이렇게 많은 수의 통각신경이 배치될 수 없다. 이렇게 빽빽이 배치돼야 아픈 부위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반면 내장 기관에는 통점이 1㎠ 당 4개에 불과해 아픈 부위를 정확히 알기 어렵다. 폐암과 간암이 늦게 발견되는 것도 폐와 간에 통점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대신 통각신경의 느린 속도는 촉각신경이 보완한다. 통증이 일어날 때 대부분 촉각도 함께 오기 마련인데, 우리 몸은 경험을 통해 촉각에 반응해 통각의 느린 속도를 보완한다. 뾰족한 것에 닿았을 때 반사적으로 손을 뗀다던지, 등 뒤에서 누군가 건드리면 휙 돌아보는 것이 좋은 예다.

이렇게 통증은 꼭 필요한 것이지만 정도가 심하면 생명까지 위협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통증을 줄이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통증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통증을 해소하려면 통증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 중 한 부분을 차단하면 된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가장 강력한 진통제인 모르핀은 척수나 뇌 같은 중추 신경에 직접 작용해서 통증을 완화한다. 하지만 모르핀은 중독성이 있고 과다하게 사용했을 경우 중추신경계가 마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통각신경세포가 받은 자극을 신경신호로 바꾸기 전에 애초부터 통증을 차단하는 방법이 연구 중이다. 캡사이신 채널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서울대 오우택 교수는 캡사이신채널을 여는 역할을 하는 불포화지방산 ‘12-HPETE’이 진통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밝혀 진통제 ‘PAC20030’을 개발했다. 이는 캡사이신채널이 열리는 과정을 근원적으로 차단해 통증을 막는다.

이 방법은 통증을 일으키는 채널에 직접 작용하는 만큼 선별적으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캡사이신채널을 막으면 치통, 피부염, 관절염 등의 염증성 통증을 막을 수 있고, 열 자극에 작용하는 채널을 막으면 화상으로 인한 통증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중추신경에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중독?마비 현상도 예방할 수 있다.

통증을 막는 또 다른 방법 중에 특이한 것은 ‘문 조절 이론’(gate control theory)을 이용한 것이다. 이 이론은 굵은 촉각신경으로 전달된 촉감이 가느다란 통각신경으로 전달되는 통각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즉 촉각이 세지면 통각신경을 더 많이 방해하므로 통증을 덜 느끼게 된다. ‘경피성 전기 신경 자극’(TENS)은 촉각신경에 전기자극을 지속적으로 주어 통각신경을 억제해 통증을 덜 느끼게 해주는 장치다.

사실 우리 몸도 ‘엔도르핀’이라는 진통제를 가지고 있다. 엔도르핀은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할 때나, 출산이 가까워졌을 때 분비된다. 운동에 집중할 때 발목이 삔 것을 잊는다던지, 전쟁터에서 상처를 입어도 아픔을 못 느끼다 병원에 와서야 느낀다던지 하는 것은 모두 엔도르핀의 작용이다.

통증은 우리 몸이 주는 경고 신호이니만큼 아프다고 마냥 싫어할 일만은 아니다. 통증에 감사하면서 자신의 몸을 좀더 소중히 하는 것은 어떨까. (글 : 김정훈 과학전문 기자)
평가하기
김용우
  • 평점   별 5점

가장 사망에 이르기까지 치명적인건 세균의 간염으로 알고 있었는데 쇼크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군요. 좋은글 고맙습니다.

2009-04-06

답글 0

최문
  • 평점   별 4점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설명이 풍부하내요.
통증채널 캡사이신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오우택교수님 감사합니다.
내가 알기론 통점>촉점>압점>냉점>온점 등 으로많은줄 알고있습니다. 더 머가 있나요?
그리고 통점이 있다면 우리가 느끼는 매운맛은 통각이 잖아요,
그러면 피부도 매운맛을 느끼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수고부탁드립니다.

2007-02-08

답글 0

궁금하다
  • 평점   별 5점

글을 보던중에 생각난게 있는데요 '문 조절 이론'과 주사를 놓을때 그 주위를 손으로 치는것이 관련이 있나요?

2006-12-29

답글 0

최인선
  • 평점   별 5점

깊이 찔려야 아픈걸 느낀다구 했는데 조금 찔려도 아픈사람은 어떻게 된거에요?

2006-11-25

답글 0

난 신이다
  • 평점   별 5점

와!!!!!!!!!!!!!!! 짱이다 마취제를 살용하고 상처를 내면 어떻게 되나용?

2006-11-20

답글 0

성경진
  • 평점   별 5점

그러면 다치면 통증이 나게 하지 않게
하면 되잖아요

2006-11-17

답글 0

임정민
  • 평점   별 2점

주사놀때 엉덩이를 때리는 이유가 그런건가 싶네요 ㅋ

2006-11-13

답글 0

ㅎㅎ
  • 평점   별 4점

그래서 건강한 제가 헌혈하고 실신한거였군요-_-ㅋ

2006-11-08

답글 0

현중
  • 평점   별 5점

오옷!

2006-11-08

답글 0

과학향기
  • 평점   별 5점

먼저 좋은 의견에 감사합니다.

글에는 최대 1분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초속0.5m로 전달됐을 때 1분이 걸린다는 의미입니다.

초속30m로 전달된다면 지적하신대로 최소 1초만에 고통을 느끼겠죠.

좋은 하루 되세요.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 과학향기

2006-11-07

답글 0

우기
  • 평점   별 4점

좋은 상식입니다. 사람이 칼이나 총에 맞았을때도 과다 출혈에 의한 사망이나 세포 괴사보단 쇼크에 의한 사망이 더 많지요. 한마디로 정신적 사망.ㅎ 정신력이 강한 사람은 위험 상황속에서도 살 수 있답니다. 재밌는 예로 헌혈할때 아무리 건장한 사람이라도 쇼크로 실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006-11-07

답글 0

과학향기
  • 평점   별 3점

먼저 좋은 의견에 감사합니다.

지적하신 내용은 다음 기획할 때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 과학향기

2006-11-07

답글 0

지수
  • 평점   별 3점

좋은 글이기는 하지만, 통증이 왜 사람을 죽이는지에 대한 매커니즘은 소개가 안 되어 있네요. 단순히 쇼크에 의해서라고 적혀 있을 뿐이군요.
그 쇼크라는 것의 자세한 설명이 뒷받침 되었으면 합니다. 어떠한 메커니즘에 의해서 그러한 쇼크가 오게 되는 것인지, 그 쇼크는 직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뇌에 영향을 끼치는지, 아니면 심장에 영향을 끼치는지) 등을 알고 싶습니다.

2006-11-06

답글 0

소영
  • 평점   별 5점

그러면 어딘가 아플때 매우 차갑게 해놓는 것은 촉각을 활성화 시켜 통각을 방해하는 원리와 같은 건가요?

2006-11-06

답글 0

  • 평점   별 5점

그런데 신경의 굵기가 신경의 신호 전달속도와 비례관계가 있는 건가요? 신경이 가늘면 속도가 느리다... 왜 그럴까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2006-11-06

답글 0

김영근
  • 평점   별 5점

매번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2006-11-06

답글 0

송창환
  • 평점   별 5점

근데 고통 신경이 초속0.5~30M라고 써잇는데 흰수염고래는 최소1분이 아니라 최소 1초늦게
고통을 느낀다 가 아닌가요?

2006-11-06

답글 0

김동일
  • 평점   별 5점

지수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2부를 만들어 주실 생각은 없으신지요? ^^

2006-11-06

답글 0

김사무
  • 평점   별 5점

재밌네요!

2006-11-06

답글 0

이호철
  • 평점   별 5점

우리몸의 통증기관의 미스테리가 궁금 하였는데, 위의 정보를 읽고 모든 통증 이 발생하는 원인을 깨닳게 되었네요.

2006-11-06

답글 0

김영상
  • 평점   별 5점

정말 신기하네요~

2006-11-06

답글 0

민금
  • 평점   별 5점

우리 인체에서 폐암이나 간암처럼 통증을 느끼게 하는 통점이 거의 없는 부분에, 통점을 심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2006-11-06

답글 0

송창환
  • 평점   별 5점

근데 고통 신경이 초속0.5~30M라고 써잇는데 흰수염고래는 최소1분이 아니라 최소 1초늦게
고통을 느낀다 가 아닌가요?

2006-11-06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