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지나쳐도, 모자라서도 안 되는 ‘소금’

<KISTI의 과학향기> 제2364호   2015년 04월 08일
우리 속담에 ‘평양감사보다, 소금장수’라는 말이 있다. 소금이 얼마나 귀한 존재였길래, 그 좋다는 평양감사보다 소금장수가 더 좋다고 했을까? 모르긴 몰라도 이런 속담이 생겨난 것을 보니, 예전의 소금이 황금과 맞먹는 귀중품이었던 것만은 분명한 것 같다.

그런데 오늘날의 소금은 어떠한가? 성인 질환을 일으키는 대표적 식품으로 꼽히면서, 그 존재가치를 잃어가고 있다. 건강을 위해 음식에는 가능한 한 소금을 적게 넣거나, 아예 넣지 말고 무염식으로 먹는 것도 괜찮다는 소리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있다.

어쩌다 소금의 신세가 불과 몇 백 년 만에 이렇게 나락으로 떨어졌을까? 혹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소금이 오해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진짜로 사람에게 해로운데도, 예전에는 몰라서 그렇게 보물처럼 여겼던 것일까? 이제 소금을 둘러싼 진실과 거짓을 파헤쳐, 소금의 진짜 정체를 알아봐야겠다.

■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던 소금

인류 역사상 소금만큼 인간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 존재도 없을 것이다. 사람은 생리적으로 소금을 먹어야만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금은 인간이 지구상에 등장하면서부터 음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사용돼 왔다.

특히 우리 조상들은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로 소금을 활용했다. 소금으로 이를 닦는 것은 물론, 혀에 백태가 끼거나 발가락에 무좀이 생겼을 때 소금을 바르거나 문질렀다. 또한 치통이나 피부병이 발생했을 때도 소금으로 닦고 씻는 등, 소금을 거의 만병통치약처럼 여겼다.

실제로 한의학에서는 소금을 중요한 약재로 사용했다는 기록들이 나온다. 명나라의 대표적 약학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총 75종의 소금을 활용한 처방이 수록돼 있고, 또한 세종대왕 시절에 편찬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도 소금 치료법만 수백 가지가 넘게 실려 있다.

이 외에도, 소금은 병을 걸리게 하는 귀신을 쫓는 주술 행위에도 많이 사용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오줌을 자주 싸는 아이에게 키를 씌워서 소금을 얻어오는 풍습이다. 해독과 살균작용이 있는 소금이 오줌의 냄새를 없애고, 어린이들의 야뇨증을 방지시켜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 때는 만병통치약이자, 안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까지 여겨졌던 소금이 최근 들어서는 성인의 건강을 해치는 주범으로까지 몰리며 그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더군다나 냉장고의 등장과 각종 약품의 개발로, 보존제 및 치료제로서 사용되던 기능마저 이제는 과거의 일이 돼버렸다.

■ 소금의 면역력 강화 기능이 새롭게 밝혀져

소금이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틀린 말이 아니다. 특히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이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소금을 구성하는 나트륨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세포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수분을 흡수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막이 팽창하면서 근처에 있는 혈관을 압박하는데, 이런 현상이 바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이유가 된다.

하지만 소금의 임장에서 보면 억울한 점이 많다. 지금도 소금이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존재인데도 불구하고, 성인병을 일으킨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 식탁에서 퇴출될 위기로까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소금은 너무 많이 먹어도 문제가 되지만, 너무 적게 먹어도 탈이 난다. 그 좋은 예가 바로 마라톤이나 축구처럼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을 할 때다. 우리 몸은 일정 수준의 염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만약 소금 섭취를 거의 하지 않은 채 물만 마시게 되면 체내 염도가 떨어져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적게 먹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체내 염도뿐만이 아니다. 최근에는 소금이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져, 그동안 몰랐던 소금의 효능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독일과 미국의 연구진이 저명한 학술지인 셀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최근호에 기고한 논문에 따르면 소금이 사람의 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할 수 있는 면역력을 기르는데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레겐스부르크대의 요나단 얀취(Jonathan Jantsch) 교수와 미국 밴더빌트대의 옌스 티체(Jens Titze)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소금 섭취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던 중에, 상처가 난 피부에서 고농도 소금이 축적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같은 현상에 흥미를 느낀 연구진은 대식세포(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를 서로 다른 조건에서 배양해 보았다. 즉 대식세포를 배양하는 2개의 배지에 대장균을 감염시킨 후, 한 쪽에만 소금을 첨가해 본 것이다.

그 결과 소금을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 대식세포가 훨씬 빠른 시간에 대장균을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소금 섭취 실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소금을 많이 먹인 쥐들이 적게 먹인 쥐들보다 세균의 감염으로부터 더 빨리 회복된 것이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공동 연구진은 “항생제도 없고, 수명도 짧았던 조상들에게 짜게 먹는 것이 세균 감염을 물리치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연구진은 소금을 많이 먹을수록 면역력이 따라서 증가하는 것은 아닌 만큼, 소금을 ‘먹는’ 용도 보다는 ‘바르는’ 용도로 바꾸자는 대안을 제시했다. 피부가 세균으로 감염됐을 때 먹는 소금의 양을 늘리는 것보다는, 차라리 소금을 함유한 수액이나 젤 등을 발라서 피부의 염분 농도를 상승시키자는 것이다.

아마 공동 연구진도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속담을 염두에 두고, 소금을 바르는 용도로 사용해 보자는 제안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이 말처럼, 연구진은 이 제안을 통해 소금이 지나쳐도 안 되지만, 모자라서도 안 되는 존재임을 알리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글 : 김준래 과학칼럼니스트
평가하기
고도리
  • 평점   별 5점

진작부터 소금에 대한 평가절하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바르는 소금이라.... 멋진 아이디어와 발상이라고 생각합니다!

2015-04-20

답글 0

고양이세마리
  • 평점   별 5점

저 어렸을 때 시골에 가면 할머니가 치약대신 굵은 소금을 주셨어요. 그땐 왜 소금으로 양치질을 하는지 이해가 안갔는데, 이 글을 보니 알 것 같습니다. 오늘은 소금으로 양치질을 해 봐야겠어요!

2015-04-10

답글 0

과학향기편집부
  • 평점   별 5점

과학향기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세계보건기구나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2g 정도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소금의 양으로 계산하면 6g 정도 입니다. 감사합니다.

2015-04-10

답글 0

과학향기편집부
  • 평점   별 5점

과학향기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삭혀서 먹는 젓갈에도 많은 나트륨이 포함돼 있습니다. 국이나 찌개, 젓갈 등을 통한 나트륨 섭취를 되도록 줄이기 위해, 국물보다는 건더기 위주로 먹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또한 간이 싱거울 때는 소금 대신 후추나 마늘, 양파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2015-04-10

답글 0

김도희
  • 평점   별 5점

뭐든지 과유불급. 이것이 정답이겠지요. 어쨋든 나트륨은 우리 체내에 꼭 필요한 필수영양소 중 하나이니까요^^ 게다가 대식세포의 작용까지 향상시킨다니 놀랍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15-04-08

답글 0

윤승환
  • 평점   별 5점

아주 좋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2015-04-08

답글 0

이태욱
  • 평점   별 5점

....어쨌던 우리나라는 소금을 직접적으로 먹지 않고, 삭혀서 먹어서 섭취량이 많아도 오래 사는 건 아닐까요?

2015-04-08

답글 0

지나가는학생
  • 평점   별 5점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적정한 소금량은 얼마인걸까요? 우리 나라 전통 음식인 김치 등은 나트륨 함량이 국제기구의 나트륨 섭취량보다 월등히 높아 건강에 문제가 된다는 말도 있고, 나라별로 적응된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 나라 사람들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는 의견도 있는데, 우리 나라 사람들 기준으로(만약 나라마다 다르다면) 적당한 나트륨 섭취량은 대체 어느정도일까요?

2015-04-08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