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9월
2023

천문학 연구 상징했던 아레시보 천문대, 막을 내리다

Posted by contentmaster In 스토리
Read 6326 Recommend 3 Comments 2
아레시보 250x250
천문학 연구 상징했던 아레시보 천문대, 막을 내리다

“만약 이 넓은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엄청난 공간 낭비겠죠.”   칼 세이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지난 세기의 영화 <콘택트> 속 대사다. 지구 밖 지적 생명체와의 만남을 꿈꾸는 주인공 앨리의 열망에는 20세기 중후반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원작자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영화 초반부, 아레시보 천문대의 천체물리학자로 일하는 주인...

More
02
11월
2009

달 안에 물을 찾아 - 엘크로스 프로젝트

Posted by admin In 스토리
Read 11447 Recommend 0 Comments 2
thum_FILE_CJKLLJFLELLHBGL
달 안에 물을 찾아 - 엘크로스 프로젝트

한국시간으로 지난 10월 9일 미항공우주국(NASA)의 엘크로스(LCROSS, Lunar Crater Observation and Sensing Satellite)가 달에 있는 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한 달 충돌 실험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관측 자료를 분석해 최종 결론을 내리기까지는 조금 더 기다려야 한다. 엘크로스 프로젝트는 빠른 시간 내에 ...

More
30
4월
2008

조선 세종 때 장영실보다 뛰어난 과학자 있었다?!

Posted by admin In 스토리
Read 23681 Recommend 6 Comments 13
3756_FILE_JCBILGALMLDEGMD
조선 세종 때 장영실보다 뛰어난 과학자 있었다?!

최근 주말 저녁에 드라마 ‘대왕 세종’이 방영 중이다. 흔히 세종대왕을 한글을 창제한 왕 정도로 생각하는데, 그는 우리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왕으로 평가받고 있다. 학계에서는 세종 시대 조선의 과학을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할 정도다. 이런 평가가 가능한 이유는 당시 장영실과 같은 우수한 과학기술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과학사학자들은 조선 세종 때...

More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