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감기·독감 환자 급증, 감기와 독감의 차이점은?
<KISTI의 과학향기> 제3026호 2024년 01월 15일최근 춥고 건조한 날씨 탓에 독감과 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특히 독감 환자 수가 5년 새 최고치를 기록하며 어린이와 청소년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는데요. 환자가 급증하면서 감기약을 구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요. 그런데 독감을 ‘독한 감기’라 잘못 알고 감기처럼 푹 쉬면 낫는 가벼운 질병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독감과 감기는 엄연히 다른 질환입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차이점 1.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다르다!
독감과 감기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다릅니다. 감기는 주로 코와 목을 감염시키는 리노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등 약 200여 종의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이에요. 감기에 걸리면 콧물, 코막힘, 목 부위의 통증, 기침, 열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며칠 내에 회복되며 가벼운 증상으로 지나갑니다.
반면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크게 A, B, C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있는데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A형과 B형이에요. B형은 A형보다 변이 속도가 느리고 몇 년을 주기로 유행되는 반면, A형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변이를 자주 일으키며 더 심한 증상을 일으킵니다.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지만, 보통 독감은 감기보다 증상이 훨씬 심하며 40℃에 가까운 높은 열과 근육통, 오한 등이 함께 나타납니다.
차이점 2. 치료제가 다르다!
감기의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물을 충분히 마시고 몸을 따뜻하게 한다면 대부분 일주일 이내에 낫습니다. 이때 열이 나거나 통증이 있다면 해열진통소염제를, 가래나 기침이 있다면 진해거담제 같은 약을 먹으며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요.
감기의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물을 충분히 마시고 몸을 따뜻하게 한다면 대부분 일주일 이내에 낫습니다. 이때 열이 나거나 통증이 있다면 해열진통소염제를, 가래나 기침이 있다면 진해거담제 같은 약을 먹으며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요.
하지만 독감은 자연적으로 낫기 어렵고,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폐렴과 같은 심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 치료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예요. 먹는 약인 ‘타미플루’와 수액으로 맞는 ’페라미플루’ 두 가지 중 하나로 치료를 받습니다.
그림 3. 독감 치료제인 타미플루.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스’ 단백질을 억제해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다. ⓒ클립아트코리아
타미플루와 페라미플루는 어떻게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까요? 바이러스 입자는 복제가 끝나면 세포 바깥으로 방출되는데요, 이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갖고 있는 ‘뉴라미니데이스’라는 단백질이 이 과정을 도와줍니다. 두 치료제는 모두 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해 바이러스의 증식을 방해합니다. 감염 후 이틀째가 증식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고 2일 이내에 투여받아야 치료 효과가 좋다고 해요.
차이점 3. 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림 4. 매년 독감 유행 전, 백신을 접종해 독감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shutterstock
감기는 원인 바이러스가 많은 데다 증상도 가벼워 따로 예방주사(백신)를 맞지 않습니다. 반면 독감은 (특히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 변이가 빨라 매년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그해 유행할 바이러스를 3~4개 정도 예측해 백신을 만드는데요, 독감이 유행하기 전에 백신을 접종받으면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독감과 감기는 모두 감염성 질환이므로, 손을 자주 씻고 마스크를 잘 쓰며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1학기 과학 –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지진운, 동물의 이상행동… 지진 전조 현상은 정말 있을까?
- 지난 8월 8일, 일본 남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일본은 원래 1년에 약 1500번의 지진이 날 만큼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나라지만, 100~150년마다 거대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형 지진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한 일본 기상청은 사상 처음으로 대지진 주의보를 발령했어요. 다행히 주의보는 해제됐고 대지진은...
-
- [과학향기 for Kids]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또는 빅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회의 발전에 빅데이터가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곤 하죠. 그런데 아직도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일까요? 빅데이터에 대해 알...
-
- [과학향기 for Kids] 체감온도는 왜 기온과 다를까?
- 길었던 장마가 끝나고, 33℃를 훌쩍 넘는 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집 밖을 나서면 일기예보에서 봤던 온도보다 훨씬 더 덥게 느껴지곤 합니다. 이렇게 실제 기온과 달리, 사람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를 나타내는 온도를 ‘체감온도’라고 하는데요. 기상청에서는 일기예보에 기온뿐만 아니라 체감온도도 함께 발표합니다. 보통 체감온도는 여름에는 기온보...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KISTI의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