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항문으로 숨을 쉴 수 있다?’…엉뚱한 이그노벨상 연구들
<KISTI의 과학향기> 제3104호 2024년 10월 14일올해에도 어김없이 노벨상 수상자 발표가 시작됐습니다. 노벨상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한 사람이나 단체에 수여되는 상으로, 과학자들에겐 노벨상을 받는 것만큼 큰 영광이 없다고들 합니다. 그런데 이런 노벨상을 패러디한 상도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바로 엉뚱하고 기발한 연구를 한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이그노벨상(Ig Nobel Prize)’입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기 1~2주 전에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데요. 올해에는 과연 어떤 연구가 이그노벨상을 받았을까요?
[생리의학상] 포유류, 항문으로도 숨을 쉴 수 있다
올해 이그노벨 생리의학상은 포유류가 폐뿐만 아니라, 항문으로도 숨을 쉴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팀이 받았습니다. 이 연구를 이끈 일본 도쿄대학교 다케베 다카노리 교수는 폐가 좋지 않은 아버지의 치료법을 찾던 중,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에서 미꾸라지와 메기가 창자를 통해 호흡한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다케베 교수는 포유류도 같은 방식으로 호흡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직접 실험에 나섰답니다.
연구팀은 생쥐와 돼지의 항문에 산소가 많이 녹아있는 액체를 주입했습니다. 그 결과,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동물들은 활발하게 활동했어요. 즉 연구팀이 예상한 대로 포유류도 항문을 통해 숨을 쉴 수 있는 것이었죠. 연구팀은 이를 활용하면, 코로나19 대유행 때처럼 인공호흡기가 부족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통계학상] 동전 던지기 확률은 50:50이 아니다!
이그노벨 통계학상은 동전 던지기 확률을 확인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교의 연구팀이 차지했습니다. 수학에서는 동전을 던질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확률을 각각 50%로 봅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동전을 35만 번 던진 결과, 처음 던질 때와 같은 면으로 동전이 떨어질 확률이 0.8% 더 크다고 발표했어요. 즉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확률이 똑같지 않다는 뜻이에요. 아주 작은 차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동전 던지기로 승패를 가뤄야 하는 순간에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답니다.
[의학상] 입에 쓴 가짜 약이 몸에 더 좋다?
여러분은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알고 있나요? 플라시보 효과란, 환자들이 효과가 없는 약을 먹었음에도, 상태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독일 함부르크 에펜도르프대학교의 리븐 아 쉔스 교수 연구팀은 입에 쓴 가짜 약이 아무 맛도 안 나는 가짜 약보다 치료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밝혀내 이그노벨 의학상을 받았어요. 연구팀은 무릎이 아픈 사람들에게 캡사이신이 든 가짜 약과 아무 맛이 없는 가짜 약을 주고,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속였습니다. 이후 사람들의 뇌를 스캔한 결과, 캡사이신이 든 가짜 약을 사용한 환자들의 뇌가 더 활발하게 활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왜 엉뚱한 연구에 상을 줄까?
이 밖에도 재밌는 연구들이 이그노벨상을 탔습니다. 살아있는 비둘기를 미사일 내부에 넣어 목표물까지 안내하는 실험은 평화상을, 출생·사망 신고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지역일수록 오래 사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는 인구통계학상을, 남미에 서식하는 한 식물이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짜 잎을 흉내 낼 수 있다는 연구는 식물학상을 받았습니다. 또 죽은 송어의 수영 능력을 연구한 실험은 물리학상을, 크로마토그래피를 활용해 술에 취한 벌레를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는 화학상을, 겁에 질린 젖소의 우유 생산량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팀에겐 생물학상이 주어졌답니다. 마지막으로 이그노벨 해부학상은 사는 지역에 따라 가마의 모습이 다르다는 연구를 한 프랑스와 칠레 연구팀에게 돌아갔답니다.
이그노벨상은 올해에도 기발하고 참신한 연구를 선보이며 우리에게 많은 즐거움을 제공했는데요. 엄격하고 진지한 연구와 달리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주기도 합니다. 또 연구자들에게는 더욱 창의적인 연구를 해볼 기회를 제공한답니다. 내년에는 어떤 수상작들이 우리를 즐겁게 만들지 벌써 기대되네요!
항문으로 숨을 쉴 수 있다고?
2024 어그노벨상 연구 살펴보기!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들의 한살이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들의 한살이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감자의 탄생 비밀? 바로 토마토에 있었다!
- 바삭바삭한 감자칩부터 부드러운 감자샐러드까지! 감자는 반찬도 되고 간식도 되는 인기 만점인 식재료예요. 그래서 전 세계 사람들이 즐겨 먹어요. 그런데 이렇게 다양한 요리로 변신할 수 있는 감자는 도대체 언제, 어디서 나타난 걸까요?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과학자들은 감자의 뿌리를 따라 올라가 감자의 조상을 찾아 나섰어요. 사진 1. 그동...
-
- [과학향기 for kids] 폭우와 함께 우르릉 쾅, 번쩍! 천둥 번개의 원리는?
- 7월 한 달 동안 천둥 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자주 내리고 있어요. 천둥 번개는 우리 몸을 절로 움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매우 위험합니다. 지난 7월 16일, 전남 지역에는 하루에 약 4500번 벼락이 쳐 정전 등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어요. 그렇다면 천둥 번개는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걸까요? 그림 1. 폭우와 함께 천둥 번개가 자주 ...
-
- [과학향기 for Kids] 파라오의 저주로 백혈병 치료제를 만든다?
- 정사각뿔 모양의 거대한 건축물이라고 하면, 바로 이집트에 있는 ‘피라미드’를 떠올릴 텐데요. 이집트의 대표 유적인 피라미드는 약 4,700년 전에 만들어진 고대 이집트의 왕, 파라오의 무덤이랍니다. 피라미드가 발견된 이후 고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피라미드 안에 어떤 게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만들었는지 밝혀내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어요. 사진 1....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밀렵꾼에게 쫓기는 코뿔소를 지키는 방법은?
- [과학향기 Story] 슈퍼컴퓨터 경쟁 가속화…한국도 전력 질주 중!
- [과학향기 Story] 퇴근 후 술자리는 본능일까? 침팬지에게 물어보라!
- [과학향기 Story] 정보사회 이끌 새로운 자산 ‘마이데이터’
- [과학향기 Story] 프롬프트 하나로 인간을 뛰어넘다…인공지능의 진화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과학향기 Story] 국제 협력을 통한 기술 표준화, 상생의 길을 열다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Story] AI 전문가, 인간과 함께 미래 유망기술을 꼽다
- [과학향기 Story] 범람하는 가짜 정보 속,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사이언스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