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항문으로 숨을 쉴 수 있다?’…엉뚱한 이그노벨상 연구들
<KISTI의 과학향기> 제3104호 2024년 10월 14일올해에도 어김없이 노벨상 수상자 발표가 시작됐습니다. 노벨상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한 사람이나 단체에 수여되는 상으로, 과학자들에겐 노벨상을 받는 것만큼 큰 영광이 없다고들 합니다. 그런데 이런 노벨상을 패러디한 상도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바로 엉뚱하고 기발한 연구를 한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이그노벨상(Ig Nobel Prize)’입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기 1~2주 전에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데요. 올해에는 과연 어떤 연구가 이그노벨상을 받았을까요?
[생리의학상] 포유류, 항문으로도 숨을 쉴 수 있다
올해 이그노벨 생리의학상은 포유류가 폐뿐만 아니라, 항문으로도 숨을 쉴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팀이 받았습니다. 이 연구를 이끈 일본 도쿄대학교 다케베 다카노리 교수는 폐가 좋지 않은 아버지의 치료법을 찾던 중,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에서 미꾸라지와 메기가 창자를 통해 호흡한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다케베 교수는 포유류도 같은 방식으로 호흡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직접 실험에 나섰답니다.
연구팀은 생쥐와 돼지의 항문에 산소가 많이 녹아있는 액체를 주입했습니다. 그 결과,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동물들은 활발하게 활동했어요. 즉 연구팀이 예상한 대로 포유류도 항문을 통해 숨을 쉴 수 있는 것이었죠. 연구팀은 이를 활용하면, 코로나19 대유행 때처럼 인공호흡기가 부족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통계학상] 동전 던지기 확률은 50:50이 아니다!
이그노벨 통계학상은 동전 던지기 확률을 확인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교의 연구팀이 차지했습니다. 수학에서는 동전을 던질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확률을 각각 50%로 봅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동전을 35만 번 던진 결과, 처음 던질 때와 같은 면으로 동전이 떨어질 확률이 0.8% 더 크다고 발표했어요. 즉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확률이 똑같지 않다는 뜻이에요. 아주 작은 차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동전 던지기로 승패를 가뤄야 하는 순간에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답니다.
[의학상] 입에 쓴 가짜 약이 몸에 더 좋다?
여러분은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알고 있나요? 플라시보 효과란, 환자들이 효과가 없는 약을 먹었음에도, 상태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독일 함부르크 에펜도르프대학교의 리븐 아 쉔스 교수 연구팀은 입에 쓴 가짜 약이 아무 맛도 안 나는 가짜 약보다 치료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밝혀내 이그노벨 의학상을 받았어요. 연구팀은 무릎이 아픈 사람들에게 캡사이신이 든 가짜 약과 아무 맛이 없는 가짜 약을 주고,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속였습니다. 이후 사람들의 뇌를 스캔한 결과, 캡사이신이 든 가짜 약을 사용한 환자들의 뇌가 더 활발하게 활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왜 엉뚱한 연구에 상을 줄까?
이 밖에도 재밌는 연구들이 이그노벨상을 탔습니다. 살아있는 비둘기를 미사일 내부에 넣어 목표물까지 안내하는 실험은 평화상을, 출생·사망 신고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지역일수록 오래 사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는 인구통계학상을, 남미에 서식하는 한 식물이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짜 잎을 흉내 낼 수 있다는 연구는 식물학상을 받았습니다. 또 죽은 송어의 수영 능력을 연구한 실험은 물리학상을, 크로마토그래피를 활용해 술에 취한 벌레를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는 화학상을, 겁에 질린 젖소의 우유 생산량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팀에겐 생물학상이 주어졌답니다. 마지막으로 이그노벨 해부학상은 사는 지역에 따라 가마의 모습이 다르다는 연구를 한 프랑스와 칠레 연구팀에게 돌아갔답니다.
이그노벨상은 올해에도 기발하고 참신한 연구를 선보이며 우리에게 많은 즐거움을 제공했는데요. 엄격하고 진지한 연구와 달리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주기도 합니다. 또 연구자들에게는 더욱 창의적인 연구를 해볼 기회를 제공한답니다. 내년에는 어떤 수상작들이 우리를 즐겁게 만들지 벌써 기대되네요!
항문으로 숨을 쉴 수 있다고?
2024 어그노벨상 연구 살펴보기!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들의 한살이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들의 한살이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소행성으로 우주 식량을 만든다? 미래 우주 식량
-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비행사들이 밥을 먹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우주는 무중력 상태라 지구에서의 식사 시간과는 많이 다른 풍경을 하고 있죠. 음식과 그릇이 둥둥 떠다니기에, 지구에서처럼 요리를 만들어 먹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음식이 떠다니는 것을 막기 위해 벨트로 고정시키고, 특별히 제작된 ‘우주 식량’을 먹곤 하죠. 우주비행사들은 어떤 ...
-
- [과학향기 for Kids] 지진운, 동물의 이상행동… 지진 전조 현상은 정말 있을까?
- 지난 8월 8일, 일본 남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일본은 원래 1년에 약 1500번의 지진이 날 만큼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나라지만, 100~150년마다 거대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형 지진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한 일본 기상청은 사상 처음으로 대지진 주의보를 발령했어요. 다행히 주의보는 해제됐고 대지진은...
-
- [과학향기 for Kids]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또는 빅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회의 발전에 빅데이터가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곤 하죠. 그런데 아직도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일까요? 빅데이터에 대해 알...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과학향기 Story] 국제 협력을 통한 기술 표준화, 상생의 길을 열다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Story] AI 전문가, 인간과 함께 미래 유망기술을 꼽다
- [과학향기 Story] 범람하는 가짜 정보 속,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사이언스온’으로!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창과 방패의 전쟁, 사이버 공격 VS 사이버보안
- [과학향기 Story] 음악이 변했다? 음악이 진화했다!
- [과학향기 Story] 3시간 후에 침수가 일어난다? ‘데이터’는 알고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체감온도는 왜 기온과 다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