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지구공학, 기후변화 위기 막는 효과적 방책일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650호 2021년 05월 31일강건한 문명을 세우고 자연에 대한 탐구와 지식의 축적으로 우리 인간은 지구상에서 가장 번영하는 동물이 되었다. 하지만 인간이 날로 늘어나고 그에 따라 지구의 소중한 자원을 마구 소비하면서 기후변화 같은 전 지구적 문제로 인류의 생존은 종말의 기로에 섰다. 기후변화가 일으키는 재난재해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 문제다.
그러나 인류는 또다시 지식으로 이 문제를 타개하려고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해 에너지 생산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으며 날씨로 일어나는 재난재해도 날씨를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제어하는 데까지 나섰다. 이와 더불어 과학자들은 문제의 근본 원인인 지구온난화를 단지 탄소 배출을 줄여서 저지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힘으로 능동적으로 막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이것이 ‘지구공학’이라는 학문이 탄생한 계기다.
지구공학, 인위적으로 기후변화 막기
지구공학은 지구 생태계나 기후순환 시스템을 물리화학적 방법을 동원해 우리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온난화 속도를 늦추는 기술이다. 가장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햇빛을 가리거나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햇빛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지구 온도를 떨어뜨리는 공학적 방법으로 온난화를 막자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는 재미있게도 필리핀에 있는 피나투보 화산의 폭발로부터 얻었다. 피나투보 화산은 폭발하면서 수천만t에 달하는 이산화황을 방출했는데 이것이 성층권에 황산염 입자가 모인 층을 형성했다. 그러자 지구에 도달하는 일사량이 무려 30%나 줄면서 3년이 넘게 냉각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 전체로 봤을 때 평균 기온을 0.5도 떨어뜨렸다고 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각한 것이나 우리가 직접 미세한 입자층을 만들어서 태양빛을 반사한다면?
하지만 이런 가정을 직접 해볼 수는 없다. 그래서 미국 하버드 대학교 데이비드 키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층권에 탄산칼슘을 뿌려 햇빛을 차단하면 어떻게 되는지 모델링해봤다. 그 결과 오존층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절반 수준으로 억제하고, 강수량의 불균형도 없앨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허리케인의 강도 역시 85%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 1. 미 하버드대가 진행 중인 ‘스코펙스(SCoPEx·성층권통제섭동실험)’ 프로젝트의 개념도. 탄산칼슘 입자가 담긴 곤돌라를 기구에 실어 성층권에 올려 보낸 뒤 분사해 햇빛 차단 효과를 확인한다. (출처: 하버드대학교)
아직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속속들이 알지 못한다
내친김에 같은 하버드 대학교 프랭크 코이치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현실에서 직접 검증해보기로 했다. 대형 기구에 탄산칼슘 입자 600kg을 싣고 지상 20km 성층권에 올라가 적게는 100g부터 많게는 2kg까지 살포하며 화산이 뿜은 화산재가 햇빛을 가리듯 에어로졸이 햇빛을 막는 효과를 실험하는 ‘스코펙스(SCoPEx, 성층권통제섭동실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2021년 6월 스웨덴우주국이 운영하는 스웨덴 북쪽 이스레인지우주센터에서 기구에 에어로졸을 싣고 올려보낼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 1일 스웨덴우주국은 스웨덴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 등의 반대로 비행 시험을 취소했다.
안타깝게도 지구공학에는 불확실성이라는 문제가 있다. 태양을 막는 지구공학의 부작용이 면멸히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많은 생태학자들은 에어로졸을 이용한 햇빛 차단 기술을 실제로 사용할 때 에어로졸이 일으키는 냉각 효과가 균등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강우와 지표 자외선 복사가 바뀌고, 산성비가 증가해 해양 산성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장기적으로 일사량이 줄 경우 지구의 물 순환 패턴이 바뀌면서 다시금 이상 기후가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지구공학이 성공할 경우 석탄이나 석유 같은 자원을 과거처럼 아무 생각 없이 펑펑 쓰는 도덕적 해이가 일어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쉽지 않은 문제다.
물론 지구공학에는 에어로졸을 이용한 방법만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과학자들이 제시한 다양한 대안을 보면 바다에 인공 구름 만들기가 있다. 바다에 있는 층적운은 지구 표면의 20%를 덮고 있는데 이 구름이 태양광 반사에 아주 많이 기여한다. 또 우주에 대형 거울 띄우기라는 기상천외한 것도 있다.
사진 2. 다양한 지구공학의 방법들. (출처: IPCC 5차보고서)
기후변화 위기에 맞서 인류가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되는 오늘날, 지구공학을 실제로 적용한다면 생태계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더 면밀한 연구가 하루빨리 이뤄지기를 기대하본다.
글: 정원호 과학칼럼니스트/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KISTI의 과학향기](/design/theme/scent/img/view_search_logo.png)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하루에 커피 몇 잔 드세요?” 여러분의 대답은 어떤가? 많은 직장인이 하루 업무를 시작하는 의례로 진한 커피를 내려 마신다. 커피는 친구들과 담소를 나누는 자리에도 빠지지 않는다. 카페인 영향을 크게 받아 한 잔도 마시지 못하는 사람, 건강을 생각해 커피를 줄이려는 사람이 적지 않지만, 우리나라 음료 시장에서 커피가 차지하는 위상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
- [과학향기 Story] 보조배터리, 이젠 안녕! 호주머니에 넣고 충전하는 시대가 온다?
-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손에서 떨어지지 않는 스마트폰. 문제는 배터리다. 휴대전화 스펙 상으로는 한 번 충전에 하루 종일 쓸 수 있다지만 유튜브를 보다 보면 금방 닳기 마련이다. 보조배터리를 들고 다니면 좋으나 너무 거추장스럽다. 더 좋은 방법은 없을까? 최근 국내 연구진이 3차원 공간 어디에서나 전자기기 무선 충전이 가능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
- [과학향기 Story] 인공지능이 맛보는 위스키의 미래
- 한 모금의 위스키를 음미할 때면 수십 가지 향이 코끝을 스친다. 달콤한 캐러멜 향에서 시작하여 과일 향을 거쳐 마지막엔 그을린 듯한 스모키향까지. 위스키의 향은 마치 교향곡처럼 복잡하지만 진하다. 그동안 이런 복잡한 향의 조화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일은 오로지 전문가들의 몫이었다. (사진) 그림 1 여태 위스키의 복잡한 향과 조화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거제에서 첫 발견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 [과학향기 for Kids] 지구에도 아름다운 고리가 있었다?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과학향기 for Kids] 달 크레이터에 조선 천문학자 이름이? 우주에 새겨진 한국 이름들
- [과학향기 Story] 점점 더워지는 여름, 건물 온도를 낮출 방법은?
- [과학향기 for Kids] 지진운, 동물의 이상행동… 지진 전조 현상은 정말 있을까?
- [과학향기 for Kids] 지하 동굴에 달 기지를 짓는다?
- [과학향기 for Kids] 체감온도는 왜 기온과 다를까?
- [과학향기 for kids] 여름철, 어김없이 장마가 찾아오는 이유는?
- [과학향기 for kids] 폭우와 함께 우르릉 쾅, 번쩍! 천둥 번개의 원리는?
김지후김지후
2024-09-02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