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현대판 갈라테이아의 탄생? ? 안드로이드
<KISTI의 과학향기> 제448호 2006년 05월 22일
키프러스의 왕이자 조각가인 피그말리온.
그는 자신의 조각 솜씨를 발휘하여 상아로 세상의 그 어떤 여성보다도 아름다운 여인상을 만들고 ‘갈라테이아’라고 이름 붙였다. 피그말리온은 이 여인상을 만져보고 포옹하고 조개껍데기나 구슬을 선물하기도 하였다. 아프로디테 신전에 나아간 그는 이 여인상을 자기 아내가 되게 기원하기도 했다. 그런데 어느 날 기적이 일어났다. 여느 때처럼 갈라테이아를 어루만지고 있는데, 몸이 부드러워지고 따뜻한 체온이 느껴지는 게 아닌가. 피그말리온의 마음을 헤아린 여신 아프로디테가 상아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어 조각상이 눈부신 여인으로 변한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일이 우리 나라에서도 일어났다.
키 160cm, 몸무게 50kg의 체격에 한국 고유의 미인형 얼굴을 가진 아름다운 여인(?)이 탄생한 것이다. 생산기술연구원이 1년간 연구 끝에 공개한, 인간의 모습을 닮은 로봇 ‘에버원(Ever-1)’이 그 주인공이다. ‘에버원’의 눈에는 영상 인식용 카메라가 장착돼 있어 바로 앞에 있는 사람을 알아보고 눈동자를 움직여 눈을 맞출 수 있다. 또 입술, 눈, 안면 근육을 움직여 슬프거나 기쁜 표정을 지을 수도 있고, 팔 동작 역시 사람처럼 자연스러웠다. 생기원은 이를 위해 35개의 초소형 전기 모터를 사용해 움직임을 표현했다고 한다.
실리콘으로 된 특수 재질로 만들어진 외피는 사람 피부와 비슷한 느낌이 들도록 했다. 어색하긴 했지만 영락없는 사람이었다. 또한 한국어와 영어로 된 400개의 단어를 알아들을 수 있고 간단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지능(?)을 갖췄다. 현대판 갈라테이아인 셈이다. 아쉽게도 하반신은 거의 움직임이 없지만, ‘에버원’의 등장은 사람을 꼭 닮은 로봇의 출현이 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사실 인간을 닮은 인조인간(Android) 연구의 선두주자는 일본이다.
2003년에 탄생한 ‘액트로이드(Actroid)’가 벌써 활발한 사회 활동을 하면서 고수익을 올리고 있을 정도다. 활발한 성격의 24세 여성 아나운서를 모델로 만들어진 ‘액트로이드’는 키 170cm, 몸무게 100kg의 매력적인 여성의 모습이다. 걷지는 못하지만 어깨, 팔, 손목 등 각종 관절을 사람처럼 유연하게 움직인다. 특수 실리콘 고무를 이용해 얼굴 표정까지 사람과 흡사하게 지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에버원’과 비슷하다.
미리 짜인 프로그램에 따라 4개국 언어를 구사하며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액트로이드’는 아이치 엑스포에서는 일본 전통 의상인 기모노를 입고 안내데스크를 지켜 호평을 받았으며 최근에는 진화를 거듭해 유료(?)로 사회를 보고 있기도 하다.
오사카대 이시구로 교수 역시 인간을 닮은 로봇인 '리플리(Repliee)'를 개발했다. 키 1m50㎝에 40㎏ 몸무게의 ‘리플리’는 사람의 말을 알아듣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 얼굴에 나타난 표정을 보고 감정 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다. 표정을 바꾸고, 눈썹도 찡그리는 등 섬세한 감정도 얼굴에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추세라면 조만간 갈라테이아처럼 ‘완벽한 여인’이 등장할까?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부품이 소형화 되고, 제어기술이 많이 발전 했다고는 하지만 우선 인간의 다양한 표정과 동작을 따라 할 수 있는 근육을 만들어 내는 게 아직까지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얼굴 표정은 인간 동작의 한 모습일 뿐이다. 인간처럼 온몸을 움직이고 두발로 자유롭게 걸어 다니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더욱 섬세한 모터와 제어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미리 낙담할 필요는 없다. 이미 이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자동차 회사인 혼다가 개발한 ‘아시모’는 두발로 걷는 분야에서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다. 신장 120cm, 몸무게 43kg인 ‘아시모’는 계단이나 경사면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음성명령을 알아듣고 간단한 인사말과 대화도 가능할 정도다.
로봇에 지능을 부여하는 일은 마지막 관문이 될 것이다.
카네기 멜론 대학 로봇연구소 한스 모리벡 박사는 여기에 대해서도 낙관적이다. 금세기 로봇들은 IT의 발달에 힘입어 인공지능이 10년마다 세대가 바뀔 정도로 급속히 발달하게 되고 2050년이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현재 속도로 컴퓨터 지능이 발전한다면 2010년쯤 도마뱀 수준(5,000MIPS)의 지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하고, 2020년까지는 문고리를 잡는 등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편한지'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갖춘 생쥐(10만MIPS) 정도의 지능, 2030년까지는 원숭이(5백만MIPS)만큼 머리가 좋은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는 것이다. 모리벡 박사의 예상대로라면 2040년대 이후에 나타날 로봇은 인간의 지능(1억MIPS)에 가까운 로봇이 될 전망이다. 로봇 스스로 생각하면서 철학이나 역사인식을 갖게 되는 단계라는 것이다.
이 때쯤이면 완벽한 ‘갈라테이아’가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가벼운 배터리와 연료전지, 낮은 전력사용이 가능한 칩, 가격이 저렴하고 정확성이 높은 센싱 장치, 무선통신분야의 기술발전 등이 뒤 따라야 할 것이다. 지금이야 인조인간 연구에 환호하지만, 그 때쯤이면 지금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논쟁처럼, 인조인간 연구에 대한 논쟁이 생겨날 지도 모를 일이다. (글 : 유상연 - 과학칼럼니스트 )
그는 자신의 조각 솜씨를 발휘하여 상아로 세상의 그 어떤 여성보다도 아름다운 여인상을 만들고 ‘갈라테이아’라고 이름 붙였다. 피그말리온은 이 여인상을 만져보고 포옹하고 조개껍데기나 구슬을 선물하기도 하였다. 아프로디테 신전에 나아간 그는 이 여인상을 자기 아내가 되게 기원하기도 했다. 그런데 어느 날 기적이 일어났다. 여느 때처럼 갈라테이아를 어루만지고 있는데, 몸이 부드러워지고 따뜻한 체온이 느껴지는 게 아닌가. 피그말리온의 마음을 헤아린 여신 아프로디테가 상아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어 조각상이 눈부신 여인으로 변한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일이 우리 나라에서도 일어났다.
키 160cm, 몸무게 50kg의 체격에 한국 고유의 미인형 얼굴을 가진 아름다운 여인(?)이 탄생한 것이다. 생산기술연구원이 1년간 연구 끝에 공개한, 인간의 모습을 닮은 로봇 ‘에버원(Ever-1)’이 그 주인공이다. ‘에버원’의 눈에는 영상 인식용 카메라가 장착돼 있어 바로 앞에 있는 사람을 알아보고 눈동자를 움직여 눈을 맞출 수 있다. 또 입술, 눈, 안면 근육을 움직여 슬프거나 기쁜 표정을 지을 수도 있고, 팔 동작 역시 사람처럼 자연스러웠다. 생기원은 이를 위해 35개의 초소형 전기 모터를 사용해 움직임을 표현했다고 한다.
실리콘으로 된 특수 재질로 만들어진 외피는 사람 피부와 비슷한 느낌이 들도록 했다. 어색하긴 했지만 영락없는 사람이었다. 또한 한국어와 영어로 된 400개의 단어를 알아들을 수 있고 간단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지능(?)을 갖췄다. 현대판 갈라테이아인 셈이다. 아쉽게도 하반신은 거의 움직임이 없지만, ‘에버원’의 등장은 사람을 꼭 닮은 로봇의 출현이 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사실 인간을 닮은 인조인간(Android) 연구의 선두주자는 일본이다.
2003년에 탄생한 ‘액트로이드(Actroid)’가 벌써 활발한 사회 활동을 하면서 고수익을 올리고 있을 정도다. 활발한 성격의 24세 여성 아나운서를 모델로 만들어진 ‘액트로이드’는 키 170cm, 몸무게 100kg의 매력적인 여성의 모습이다. 걷지는 못하지만 어깨, 팔, 손목 등 각종 관절을 사람처럼 유연하게 움직인다. 특수 실리콘 고무를 이용해 얼굴 표정까지 사람과 흡사하게 지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에버원’과 비슷하다.
미리 짜인 프로그램에 따라 4개국 언어를 구사하며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액트로이드’는 아이치 엑스포에서는 일본 전통 의상인 기모노를 입고 안내데스크를 지켜 호평을 받았으며 최근에는 진화를 거듭해 유료(?)로 사회를 보고 있기도 하다.
오사카대 이시구로 교수 역시 인간을 닮은 로봇인 '리플리(Repliee)'를 개발했다. 키 1m50㎝에 40㎏ 몸무게의 ‘리플리’는 사람의 말을 알아듣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 얼굴에 나타난 표정을 보고 감정 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다. 표정을 바꾸고, 눈썹도 찡그리는 등 섬세한 감정도 얼굴에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추세라면 조만간 갈라테이아처럼 ‘완벽한 여인’이 등장할까?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부품이 소형화 되고, 제어기술이 많이 발전 했다고는 하지만 우선 인간의 다양한 표정과 동작을 따라 할 수 있는 근육을 만들어 내는 게 아직까지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얼굴 표정은 인간 동작의 한 모습일 뿐이다. 인간처럼 온몸을 움직이고 두발로 자유롭게 걸어 다니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더욱 섬세한 모터와 제어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미리 낙담할 필요는 없다. 이미 이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자동차 회사인 혼다가 개발한 ‘아시모’는 두발로 걷는 분야에서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다. 신장 120cm, 몸무게 43kg인 ‘아시모’는 계단이나 경사면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음성명령을 알아듣고 간단한 인사말과 대화도 가능할 정도다.
로봇에 지능을 부여하는 일은 마지막 관문이 될 것이다.
카네기 멜론 대학 로봇연구소 한스 모리벡 박사는 여기에 대해서도 낙관적이다. 금세기 로봇들은 IT의 발달에 힘입어 인공지능이 10년마다 세대가 바뀔 정도로 급속히 발달하게 되고 2050년이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현재 속도로 컴퓨터 지능이 발전한다면 2010년쯤 도마뱀 수준(5,000MIPS)의 지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하고, 2020년까지는 문고리를 잡는 등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편한지'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갖춘 생쥐(10만MIPS) 정도의 지능, 2030년까지는 원숭이(5백만MIPS)만큼 머리가 좋은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는 것이다. 모리벡 박사의 예상대로라면 2040년대 이후에 나타날 로봇은 인간의 지능(1억MIPS)에 가까운 로봇이 될 전망이다. 로봇 스스로 생각하면서 철학이나 역사인식을 갖게 되는 단계라는 것이다.
이 때쯤이면 완벽한 ‘갈라테이아’가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가벼운 배터리와 연료전지, 낮은 전력사용이 가능한 칩, 가격이 저렴하고 정확성이 높은 센싱 장치, 무선통신분야의 기술발전 등이 뒤 따라야 할 것이다. 지금이야 인조인간 연구에 환호하지만, 그 때쯤이면 지금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논쟁처럼, 인조인간 연구에 대한 논쟁이 생겨날 지도 모를 일이다. (글 : 유상연 - 과학칼럼니스트 )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어디서든 인터넷을 쓸 수 있다…스타링크, 한국 통신 시장 뒤엎나
- 전 지구를 초고속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드디어 국내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타링크 서비스의 국경 간 공급 협정 승인을 위한 ‘주파수 이용 조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타링크의 모회사인 스페이스X와 순조롭게 협의가 이뤄지면 다가오는 3월에 국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과연 스타링크는 국...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이어폰 없이 혼자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과학향기 Story] 보조배터리, 이젠 안녕! 호주머니에 넣고 충전하는 시대가 온다?
- [과학향기 Story] 계단 오르고 장애물 넘는다?… 자유자재로 변하는 모핑 휠 등장
- [과학향기 Story] 스포츠에 불어든 AI 바람
- [과학향기 for Kids] 엄청난 속도와 성능으로 세상을 바꾸는 슈퍼컴퓨터!
- [과학향기 Story] 과거부터 현재, 미래를 향한 슈퍼컴퓨터의 진화
- 달 남극 정복하려는 주요국들의 단두대 매치, 목적과 현황은?
- [과학향기 호러 특집] 우리가 귀신 보는 이유? 귀신을 ‘만들 수도’ 있다?
-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한국 우주산업, 이제 달 착륙 노린다?
- '터미네이터'처럼 액체로 녹았다가 돌아오는 로봇
과학 향기를 통해서 또 하나의 새로운 지식을 얻어가네요 고맙습니다~!^^
2009-04-05
답글 0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2006-07-01
답글 0
우리나라가 선두가 아니라 일본이 선두라 아쉽네. 쩝....
2006-05-29
답글 0
활발한 성격의 24세 여성 아나운서를 모델로 만들어진 ‘액트로이드’는 키 170cm, 몸무게 100kg의 매력적인 여성의 모습이다.
큭큭..100키로라니 -_-;퍽이나 매력적 ㅋㅋㅋ
잘 읽었습니다 ㅎㅎ
2006-05-24
답글 0
너무 장황하네요. 그리고... 사진을 본 저로서는
한국 고유의 미인형 얼굴을 가진 아름다운 여인(?)
이라는 것에 동의할 수 없음.. ㅋㅋㅋ
2006-05-23
답글 0
어디에 아름다운 여인이 있지? -ㄴ-..... 아아.... 어쨌든 신기하긴 함..
2006-05-23
답글 0
그땐 이미 나에겐 너무 늦은 시기라네 87년생이니..
2006-05-22
답글 0
어머니가 가정을 구성한 여자를 자녀된자가 부르는 칭의1,머누리(윗어른이브르는 칭1,등등에서부터)아버지라는 자녀된자가부르는 칭1,파파,아빠,남편,등등 관계인이 어떤 구성요소의 상태일때부르는 칭인지등, 모든 단어를 정의가 맞아 퍼즐처럼들게 정의된 사전일 경우는 손쉬울수도 있을텐데,국내 사전에는 직접적 정의는 드물고 거의 의역이나 이런게 숲을 두드려 나무를 표현하는 식으로 정의되였기에 어려움도 많으시겠네요!
2006-05-22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