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12월
2024

[과학향기 Story] 동물도 술을 즐겨 마신다?

Posted by contentmaster In 스토리
Read 35514 Recommend 1 Comments 0
1218 알코올 250x250
[과학향기 Story] 동물도 술을 즐겨 마신다?

술을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고, 불안과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이는 알코올을 섭취할 때 쾌락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이 생성되면서, 중추신경계의 활동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다만, 알코올이 주는 쾌락은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효과인 데다, 과음할 경우 기억 장애, 신경세포 사멸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그럼에도 술이 주는 쾌락이 크기 때문에 현대인에게...

More
04
3월
2024

[과학향기 for Kids] “오늘은 무슨 말썽을 부릴까” 동물의 왕국 속, 장난꾸러기를 찾아라!

Posted by contentmaster In 에피소드
Read 27288 Recommend 5 Comments 0
0229유인원 250x250 썸네일
[과학향기 for Kids] “오늘은 무슨 말썽을 부릴까” 동물의 왕국 속, 장난꾸러기를 찾아라!

  여러분은 평소에 친구들과 장난치는 걸 좋아하나요? 학교처럼 여러 사람이 모인 곳에 가면, 다른 사람들에게 장난을 치는 말썽꾸러기가 한 명쯤 있기 마련이죠. 가벼운 장난은 다른 사람과 좀 더 친해지는 계기가 될 수도 있고, 서로의 기분을 좋게 만들기도 해요. 그래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기분은 어떤지, 심각한 분위기인지 살피고선 가벼운 장난을 치곤 ...

More
19
2월
2024

[과학향기 Story] 돌고래도 졸리면 바닷속에서 하품한다? 하품의 과학

Posted by contentmaster In 스토리
Read 28811 Recommend 5 Comments 0
240219하품 250x250 로고포함
[과학향기 Story] 돌고래도 졸리면 바닷속에서 하품한다? 하품의 과학

  하품은 무의식적으로 하게 되는, 매우 일상적인 행동이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하루에 8~10번 정도 하품을 한다는 통계가 있다. 하품이 나오는 상황은 제각각이다. 대부분 피곤하거나 지루할 때가 가장 많지만, 불안하거나 긴장되는 상황에서도 하품하곤 한다.  그림 1. 피곤하거나, 지루하거나, 스트레스받는 상황에서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하품하...

More
05
7월
2021

왜 동물은 배가 터질 때까지 먹지 않을까

Posted by contentmaster In 스토리
Read 4315 Recommend 1 Comments 1
210701동물과식250
왜 동물은 배가 터질 때까지 먹지 않을까

한 번쯤 그런 상상을 해보지 않는가? 포만감을 느끼지 못해서 먹고 먹고 또 먹다가 결국엔 배가 터져버리는 그런 상상 말이다. 하지만 자연계 어디를 둘러봐도 자기 배가 터질 때까지 음식을 섭취하는 동물은 없는 것 같다. 지극히 단순해 보이는 질문이지만 그전까지는 동물이 배가 터질 때까지 음식을 먹지 않는 생리학적 이유를 알지 못했다. 그런데 바로 그 이...

More
08
5월
2019

5월 가족의 달, 가족에 대한 사랑이 깊은 동물들

Posted by contentmaster In 스토리
Tags 동물 , 사랑 , 가족 , 협동
Read 6822 Recommend 1 Comments 0
untitled
5월 가족의 달, 가족에 대한 사랑이 깊은 동물들

5월은 가족과 스승, 지인들에게 그동안 표현하지 못했던 사랑과 감사를 표현하는 달이다. 우리 인간은 함께 모여 살며 도움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다. 하지만 이타적으로 협력하는 동물은 인간만이 아니다! 동물들도 서로 도우며 산다.   늑대는 동물에게는 흔치 않은 일부일처제를 평생 유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부부가 무리를 이끌며 수컷은 사냥을...

More
14
3월
2008

“우리 서로 사랑하게 해 주세요” 공생 이야기

Posted by admin In 스토리
Read 13176 Recommend 12 Comments 12
3708_FILE_LGAGAJKJBAILCLG
“우리 서로 사랑하게 해 주세요” 공생 이야기

생물계는 따로 존재하는 것이 없다. 서로 더불어 한 코, 한 땀 얽혀 산다. 말 그대로 상생하며 공생한다. 공생(symbiosis)이란 ‘서로 다른 종의 생물이 생리적ㆍ행동적으로 이익을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관계’다.공생 관계 하면 흔히 우리는 개미와 진딧물, 말미잘과 흰동가리, 악어와 악어새처럼 서로가 이익을 보며 공존하는 상리공생(Mutualism)...

More
30
3월
2007

나도 최면술사 “닭아, 잠들어랏!”

Posted by admin In 스토리
Read 11572 Recommend 3 Comments 15
3151_FILE_AEEBDMBMCMMKALB
나도 최면술사 “닭아, 잠들어랏!”

최면술사가 줄에 매달린 시계를 가져와 눈앞에서 천천히 흔들어 댄다. “당신은 이제 편안해집니다.” 대상자의 눈이 스르륵 감긴다. TV에서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최면 시술 장면이다. 인터넷에는 “당신은 최면에 잘 걸리는 타입인가?”라는 문구로 ‘최면지수’를 테스트하는 사이트도 있다. 최면의 효과나 해석에는 신뢰할 수 없는 구석이 많지만, 어쨌든 사람...

More
13
10월
2006

동물 아이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Posted by admin In 스토리
Tags 동물 , 지능
Read 18237 Recommend 3 Comments 8
2824_FILE_BJCMHEIHAMGGGBB
동물 아이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요즘 이런 뉴스들이 자주 들려온다. 붕어가 개보다 영리하고, 까마귀의 지능이 침팬지와 비슷하고, 돌고래의 지능이 애초 알고 있는 것 보다 훨씬 못하다더니 하는 이야기 등이다. 자료를 뒤져보다 코끼리 아이큐 150, 돌고래 190, 침팬지는 60, 제일 좋은 사람이 215라고 한다. 그런데 내 아이큐는 80이다. 거의 침팬지 수준이라는데, 난 가끔 전문...

More
29
3월
2006

진짜야, 가짜야?- 동화 속 동물들의 진실게임

Posted by admin In 스토리
Tags 곤충 , 동물 , 생태
Read 9461 Recommend 6 Comments 38
2397_FILE_IFECGALEHGEGLIJ
진짜야, 가짜야?- 동화 속 동물들의 진실게임

동화는 비록 허구의 문학이지만 예민한 어린이들을 상대하는 만큼 내용에 있어서는 진실에 가까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읽어 왔고 사실로 믿어 온 동화책 속에는 많은 오류들이 있다는 것을 최근에서야 알게 되었다. 작가들이야 제한된 환경 속에서 동물들을 속 깊이 들여다보지 않고, 그저 재미있는 한 부분만 보거나 듣고서 동화로 엮었을 가능성이 크...

More
10
3월
2006

호랑이 울음 소리에 기가 죽는 이유는? - 초저주파

Posted by admin In 스토리
Read 16787 Recommend 3 Comments 5
2361_FILE_KJKMDHHAGJKFCEA
호랑이 울음 소리에 기가 죽는 이유는? - 초저주파

“어흥, 떡 하나 주면 안 잡아 먹지.” 우는 아이의 울음을 그치게 한다는 호랑이. 지금이야 시베리아 호랑이를 들여와 호랑이를 복원한다는 계획도 있고, 강원도 어디에서 호랑이가 나타났느니, 호랑이를 봤다느니 하는 이야기가 우리를 설레게 하지만, 옛날에 담배 피던(?) 호랑이는 무서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우리가 호랑이를 무섭다고 느끼는 이유가 ...

More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