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4
[과학향기 for Kids] 동물들은 가족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과학향기 for Kids] 동물들은 가족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가까운 가족, 친구, 그리고 사랑하는 반려동물과의 영원한 이별은 언제나 서글픕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수만 년 전부터 사랑하는 이와의 추억을 되새기거나, 다른 사람들과 슬픔을 나누기 위해 장례식을 치릅니다. 그런데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을 슬퍼한다고 해요. 과연 어떤 동물들이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을 슬퍼할까요? 사진 1....
More1월
2018
황금개띠해를 맞이하는 올바른 자세
황금개띠해를 맞이하는 올바른 자세
우리에게 친숙한 반려동물와 공존하는 데 두 가지 이론이 대립한다. 알파독 이론과 카밍 시그널 이론이 그것이다. 그렇다고 어느 한 방법이 틀리거나 완전히 다른 이론이라기엔 뭔가 아쉽다. 기본적으로 사람과 개의 공존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목표는 같다고 할 수 있어 보인다. 카밍 시그널의 주요 훈련 방법인 긍정 강화법은 알파독 훈련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More4월
2016
[만화] 반려동물 피부병, 혹시 사람에게도?
[만화] 반려동물 피부병, 혹시 사람에게도?
물비늘이 반짝이는 아름다운 호숫가. 태연과 아빠 그리고 강아지 몽몽이가 함께하는 석양녘의 산책은 그야말로 한 폭의 그림이다. 이때, 어디서 왔는지 강아지 한 마리가 꼬리를 흔들며 태연 앞으로 다가오고, 태연은 몽몽이를 만지듯 북슬북슬한 그 강아지 털을 사랑스럽게 쓰다듬는다. 여기까지는 딱 영화 속의 한 장면이다. 그런데, 느닷없는 아빠의 외마디 고함!...
More12월
2015
동물과 인간, 모두가 행복한 과학을 위해
동물과 인간, 모두가 행복한 과학을 위해
인간과 반려동물은 아주 오래전부터 함께 어울려 살고 있을 만큼 친숙하다. 고양이와 개, 소, 닭은 물론 너구리나 고슴도치, 스컹크 등 종류도 다양하다. 동물이라는 단어 앞에 ‘짝이 되는 동무’란 뜻의 ‘반려’가 붙은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과학도 마찬가지다. 동물은 과학의 발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존재다. 하지만 같은 동물이라고 해도 ...
More2월
2012
우리집 몽몽이가 나를 무시하는 이유
우리집 몽몽이가 나를 무시하는 이유
평화로운 일요일 오후, 태연은 오늘따라 아빠가 너무 좋다. 쭉쭉 늘어나는 피부도 좋고, 세상 그 어떤 쿠션보다 푹신한 배는 살짝 기대기만 해도 콜콜 잠이 들 정도로 느낌이 좋다. 태연은 아빠 무릎을 베고 누워 떠날 줄을 모른다. 이때 멀찍이서 부녀를 바라보고 있던 강아지 몽몽이가 갑자기 뛰어들어 태연의 손가락을 깨무는 것이 아닌가!“아야!! 저리가,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