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거제에서 첫 발견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KISTI의 과학향기> 제3114호 2024년 11월 25일약 1억 년 전, 한반도에도 수많은 공룡이 살고 있었습니다. 브라키오사우루스처럼 목이 긴 용각류 공룡부터 트리케라톱스의 조상인 원시 각룡류 코리아케라톱스, 새와 골반의 모양이 비슷한 조각류 육식공룡까지 무척 다양한 공룡이 존재했는데요. 이렇게 다양한 공룡이 살고 있었다는 증거는 바로 ‘화석’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화석은 대체 무엇이고, 화석으로부터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걸까요?
화석이 들려주는 지질시대 생물들의 삶
화석이란, 지구가 만들어진 때부터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기 이전인 ‘지질시대’ 동안 살아있던 생물들이 남긴 흔적을 말합니다. 생물의 껍데기, 뼈, 깃털, 비늘, 이빨 등 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신체 일부나 발자국, 배설물, 둥지 등 생물들이 살아가면서 남긴 흔적이 보존된 것을 모두 화석이라고 부른답니다. 이러한 화석은 모래, 흙, 자갈, 화산재 등 다양한 퇴적물이 쌓인 후 압력을 받아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사암, 셰일과 같은 퇴적암에서만 화석이 생성되고, 마그마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강암, 현무암 등 화성암에선 화석이 발견되지 않습니다.
사진 2. 화석은 생물들의 사체나 흔적이 퇴적물 속에 갇히면서 보존된 것이므로, 퇴적암에서 발견된다. ⓒshutterstock
사진 3. 피부와 달리 뼈나 이빨처럼 단단한 부위는 쉽게 분해되지 않아 화석이 될 수 있다. ⓒshutterstock
사진 4. 발자국이 남은 진흙 등이 굳은 후 다른 퇴적물이 쌓이면 화석이 되곤 한다. ⓒshutterstock
사진 5. 거제도에서 발견된 발자국은 등에 골판이 있고, 꼬리에 가시가 달린 스테고사우루스와 같은 검룡류 공룡으로 추정된다. ⓒshutterstock
사진 6. 경상남도 거제도 청곡리 일대에서 발견된 검룡류 추정 발자국 화석. ⓒ거제시
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화석의 종류에 따라 조금 다릅니다. 우선 뼈와 이빨처럼 생물의 신체 일부가 보존된 화석이 만들어지려면, 생물이 사망한 뒤 온전한 상태를 유지한 채 땅속에 묻혀야 합니다. 생물이 죽으면 다른 온갖 생물들이 사체를 먹어 치우기 위해 몰려드는 데다, 곰팡이나 박테리아가 번식해 사체가 빠르게 썩습니다. 즉 생물이 원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죽은 후 홍수나 산사태, 화산재 등에 의해 빠르게 땅속에 묻혀야 합니다. 땅속에 묻힌 후 피부처럼 부드러운 부분은 분해되지만, 뼈나 이빨처럼 단단한 부위는 거의 분해되지 않습니다. 퇴적물이 암석이 되는 과정에서 분해되지 않은 부위들도 광물로 뒤바뀌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화석이 된답니다.
그럼, 국내에서 많이 발견되는 발자국 화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찰흙에 손도장을 찍는 것과 조금 비슷한 원리입니다. 우선 진흙이나 모래처럼 수분이 있는 흙 위에 발자국이 찍혀야 합니다. 그리고 발자국이 새겨진 흙이 건조돼 딱딱해지면, 그 위로 다른 퇴적물이 쌓여야 해요. 계속해서 퇴적물이 쌓여 압력이 가해지면서 퇴적암이 되면, 발자국 화석이 만들어진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화석을 통해 우린 어떤 사실을 알 수 있을까요? 뼈나 이빨 등 신체 일부로 만들어진 화석은 특정 시기에 어떤 생물들이 이 지역에 살고 있었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대로 발자국 등 생물의 흔적을 보여주는 화석은 생물들이 평소 생활을 보여주는데요. 걸음걸이가 어떤지, 얼마나 빠르게 뛸 수 있는지, 네다리로 걸었는지 두 다리로 걸었는지 등을 알려준답니다. 즉 지질시대에 어떤 생물이 살고 있었는지, 어떻게 살아갔는지 알기 위해선 반드시 화석이 필요하답니다.
거제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공룡의 역사를 새로 쓰다
최근 경상남도 거제시에서 국내 최초로 검룡류에 속한 공룡의 발자국이 발견됐습니다. 검룡류는 등에 골판이 있고, 꼬리에 가시가 있는 스테고사우루스와 같은 초식 공룡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검룡류의 앞발은 뒷발의 절반보다 크기가 작고, 뒷발은 발가락이 3개지만 앞발은 발가락이 5개입니다. 또 앞발은 역삼각형 모양이고, 뒷발은 반달 모양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어요. 검룡류로 추정되는 이 발자국은 앞서 설명한 특징을 대부분 갖고 있습니다. 심지어 발바닥 자국에서 공룡의 발바닥 지문까지 관찰된다고 해요.
이번 발견이 화제가 된 이유는 이 발자국이 백악기 후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이전까지 검룡류는 쥐라기부터 백악기 초기까지 활동하다, 안킬로사우루스와 같은 곡룡류에 밀려 쇠퇴했다고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 발자국이 백악기 후기에 만들어진 것이 확실해진다면, 검룡류가 우리 생각보다 더 오랜 시간 지구에 살고 있었다는 증거가 되는 셈이에요.
물론 이 발자국 화석이 정말 백악기 후기에 만들어진 것인지 확인하려면 조금 더 조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하루빨리 그 비밀이 밝혀지길 기대해 봅니다.
거제에서 스테고사우르스 발자국 첫 발견
한국 최초!!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2학기 과학 - 지표의 변화
4학년 1학기 과학 - 지층과 화석
3학년 2학기 과학 - 지표의 변화
4학년 1학기 과학 - 지층과 화석
글 : 동아에스앤씨 남예진 기자 /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눈으로 뒤덮인 극지를 보면, 금방이라도 손발이 얼어붙을 것 같아요. 그런데 북극에 살고 있는 북극곰은 따뜻한 옷을 입은 것도 아닌데, 강추위에도 멀쩡합니다. 심지어 물속에 들어갔다 나온 후에도 털이 얼어붙지 않아요. 추운 겨울, 머리카락을 제대로 말리지 않고 나가면 머리카락이 곧바로 얼어붙는 우리와 딴판인 셈이죠. 그렇다면 북극곰의 털은 대체 왜 얼어...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
-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 책을 읽거나, 종이접기에 집중하다가 종이에 베여본 경험, 다들 있을 텐데요. 얇은 종이에 베인 건데도, 칼에 베인 것만큼이나 따갑습니다. 종이에 베인 상처에선 피도 거의 나지 않는데 왜 이렇게 따가운 걸까요? 그리고 어떤 종이에 베였을 때 가장 아플까요? 이 엉뚱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파헤친 연구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연구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Story]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그려낼 스피어엑스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 [과학향기 Story] 유전정보 담는 DNA… 빅데이터 · 우주 시대 이끌 새 저장장치로 각광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