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IPCC 6차 보고서, 위기의 지구 진단하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678호 2021년 09월 06일2021년 여름은 전 세계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때문에 고통을 겪은 해였다. 유럽에서는 독일과 벨기에 등이 전례 없는 대홍수로 많은 사상자와 실종자를 냈다. 미국과 캐나다는 섭씨 40~50도가 넘는 폭염에 시달렸으며 그에 따라 화재도 빈번했다. 물론 우리나라도 올해 2018년에 버금가는 폭염으로 고통스러운 여름을 보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자연재해가 기후변화와 관련되었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인류가 공멸할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난 8월 9일 기후변화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과 인류의 행동 방침을 담은 6차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단순한 연구보고서가 아니라 전 세계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행동을 전개할 때 협력의 기초 자료로 쓰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가장 낙관적인 예측도 지구 온도 상승 피할 수 없어
이번 6차 보고서는 2013년에 발표된 5차 보고서 이후 8년 만에 개정됐다. 그동안 인간의 활동으로 기후변화가 더욱 가속화됐기 때문이다. 충격적인 것은 2003년부터 2012년 사이 지구 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0.78도 상승했지만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지구 기온은 1.09도 상승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391ppm에서 410ppm으로 늘어났다. IPCC 6차 보고서는 이런 급격한 상승이 대부분의 인간의 활동으로 생겨났음을 지적했다. “지난 10년간 관측한 극도로 높은 고온은 인간의 영향이 아니고는 발생하기 어렵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Summary for Policymakers
WGI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m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MO, UBEP사진 1. IPCC 6차 보고서의 표지. (출처: IPCC)
또한 이번 6차 보고서에는 인구, 에너지 소비, 경제 활동은 인간이 지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을 바탕으로 미래 지구의 기온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예측하는 5가지의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1은 인류가 적극적인 탄소 감축 노력을 벌이고 혁신 기술을 개발해 2050년에 탄소 배출이 제로가 되는 탄소중립을 달성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결과 그렇게 하더라도 21세기 말인 2081~2100년 기온은 산업화 때보다 1~1.8도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2부터는 혁신적인 탄소 배출 감축이 없이 현황과 같거나 아니면 화석 연료를 더 많이 쓰는 상황을 가정했는데, 가장 탄소 배출을 많이 하는 시나리오5일 때 지구 기온은 21세기 말에는 산업화 대비 4도까지 오르는 비관적인 결과가 도출됐다. 그렇게 되면 전 지구적으로 폭염, 한파, 홍수 같은 이상 기후는 더욱더 빈번해질 것이다.
탄소 배출이 줄어들지 않으면 전 세계 해수면이 21세에 최대 1~7m 넘게 상승할 수 있다는 계산 결과도 나왔다. 빙하가 유실되는 속도도 더욱 빨라지고 있다. 보고서는 탄소 감축을 빠르게 해도 2050년이 오기 전 북극빙하가 거의 녹아 없어지는 일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6차 보고서는 우리가 탄소중립을 실현하지 않으면 지구 온도는 계속 상승할 것이며 탄소 배출을 저감한다고 하더라도 이상기후나, 해수면 상승, 빙하 유실을 온전히 막을 수는 없다는 암울한 미래를 보여준다. 그래도 포기할 수는 없다. 2015년 파리협약에 따라 지구 온도를 1.5도 이하로 제한한다면 극단적인 기상이변이나 환경파괴를 다소나마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 2. 미래는 암울하지만 전 세계가 나선다면 지구를 지키는 게 불가능하지는 않다. (출처: shutterstock)
전 세계가 협력하기 위한 적극적 움직임 필요해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전 세계가 합심해 1.5도 상승 제한을 달성해야 한다. 각 국가는 신재쟁에너지로의 전환,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 등의 정책을 통해 2050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라는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기업들도 화석연료가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도입해 상품을 생산해야 할 것이며 탄소 배출을 저감하거나 혹은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신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기구와 개별국가, 기업이 서로 협업해야만 할 것이다.
이번 IPCC의 6차 보고서는 제1실무그룹의 보고서로 내년의 2, 3실무그룹 보고서와 종합보고서가 발표된다. 또한 오늘 11월에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열리므로 이 총회에서 인류의 생존과 지구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탄소중립 정책을 더 공격적으로 실천하도록 결의하기를 기대해본다.
글: 이병호 과학칼러니스트/그림: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유전정보 담는 DNA… 빅데이터 · 우주 시대 이끌 새 저장장치로 각광
- 인류 문명의 진보는 곧 데이터 저장장치의 진보이기도 하다. 아주 예전에는 수많은 서사와 지식․지혜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문화의 연속성을 유지시켰다. 이후 점토판․파피루스․양피지․죽간․종이 등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며 더 많은 정보를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됐다. 이렇게 전달된 지식과 정보가 쌓여가며 인류는 찬란한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다. 디지...
-
- [과학향기 Story] AI 전문가, 인간과 함께 미래 유망기술을 꼽다
- 2024년 한 해를 관통하는 기술을 꼽자면? 비록 과학을 잘 모를지라도 쏟아지는 뉴스와 콘텐츠를 통해 한 번쯤 들어봤을 OpenAI의 ‘챗GPT’가 가장 많은 이의 입에 오르내릴 것이다. 작년 말 과학계를 중심으로 퍼진 생성형 AI 기술 열풍은 그 기술적 파급력으로 인해 학계와 산업계를 넘어 사회 일반에 인공지능의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하게끔 했다. ...
-
- [과학향기 Story] 동물도 술을 즐겨 마신다?
- 술을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고, 불안과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이는 알코올을 섭취할 때 쾌락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이 생성되면서, 중추신경계의 활동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다만, 알코올이 주는 쾌락은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효과인 데다, 과음할 경우 기억 장애, 신경세포 사멸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그럼에도 술이 주는 쾌락이 크기 때문에 현대인에게...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2025년, 푸른 뱀의 해…뱀은 어떤 동물일까?
- [과학향기 for Kids] 다리로 걷고 ‘맛집’까지 찾는 물고기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가을에는 왜 나뭇잎이 알록달록 물들까?
- [과학향기 for Kids]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 [과학향기 for kids] 여름철, 어김없이 장마가 찾아오는 이유는?
- [과학향기 Story] 세상을 점령한 바퀴벌레도 고향이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여름 불청객, ‘모기’에게 물리면 왜 가려울까?
- [과학향기 Story] 마른 하늘에 난기류? 범인은 ‘지구온난화’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과학향기 Story] 이상기후가 지진을 부추긴다?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