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여름철, 어김없이 장마가 찾아오는 이유는?
<KISTI의 과학향기> 제3084호 2024년 08월 05일올해도 무더운 여름과 함께 ‘장마’가 찾아왔습니다. 거의 한 달 내내 비가 내린 탓에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져 몸이 축 늘어지는 기분도 듭니다. 연간 강수량의 30%가 장마철에 쏟아지는 만큼, 전국 곳곳에서 여름철 홍수와 산사태, 침수 피해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런데 왜 여름철에만 이렇게 많은 비가 내리는 걸까요?
쏟아지는 장마, 두 기단의 힘겨루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이 속한 동아시아 지역은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립니다. 한국에선 이 현상을 ‘장마’라고 불러요. 장마는 한반도 북동쪽에서 만들어지는 차갑고 습한 ‘오호츠크해 기단’과 한반도 남동쪽에서 생성된 따뜻하고 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힘이 비슷할 때 발생합니다. 두 기단은 온도와 습도가 달라 잘 섞이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두 기단 사이에 길고 평행한 경계선이 만들어지는데요, 이를 ‘정체전선’이라고 합니다. 정체전선은 이동 속도가 느리고, 기압이 낮아 수증기가 쉽게 몰려들어요. 그래서 흐린 날씨가 이어지거나, 많은 비가 쏟아집니다.
다만 장마철에도 날씨가 종종 맑은 날이 있는데요. 북태평양 기단이 강해져서 정체전선이 북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북태평양 기단이 약해진 탓에 정체전선이 남쪽으로 이동하거나 습한 공기가 적어져 맑아지는 때도 있어요. 그렇게 두 기단이 서로 충돌하며 다툰 끝에 북태평양 기단의 세력이 오호츠크해 기단보다 훨씬 더 강해지면 장마가 끝난답니다.
장마 대신 ‘우기’라고 불러야 할까?
그런데 기상청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장마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가 점점 늦어지고 있어요. 장마철에 내리는 강수량 자체는 줄어들었지만, 시간당 30㎜ 이상의 비가 퍼붓는 집중호우 현상은 20% 이상 늘어났습니다. 게다가 장마철이 끝난 후에도 비가 내리는 날이 많아졌어요. 원래 장마는 기단 외에도 대기 흐름이나 해수면 온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지만,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장마가 더욱 복잡해졌다고 분석하고 있어요.
사진 3. 장마는 대기 흐름, 해수면 온도 변화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장마가 좀 더 복잡해지고 있다. ⓒshutterstock
국립기상과학원 연구진은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수증기량도 7% 증가하기 때문에 폭우가 쏟아지기 쉬운 환경이 된다고 지적했어요. 기초과학원에선 미래 기후를 예측한 결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면 2100년에는 여름철 강수량이 10~15%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상청 역시 기후변화가 계속된다면 여름철 강수량이 15~25%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어요.
이에 2022년 기상청은 우리나라도 ‘장마’ 대신 아열대 지방이나 열대지방처럼 ‘우기’라는 표현을 사용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밝혔어요. 물론 우기와 장마는 발생하는 원리가 달라 장마를 우기로 대체하기 위해선 많은 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대로라면 ‘장마’라는 말이 사라지는 것도 시간문제가 아닐지 모릅니다. 여러분이라면 점점 변하는 장마를 어떤 단어로 바꿀지, 친구나 가족들과 함께 이야기해 봐요.
장마는 왜 일어날까?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1학기 과학 - 온도와 열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5학년 1학기 과학 - 온도와 열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KISTI의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여러분은 ‘로봇’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우리는 영화나 만화에서 흔히 본 것처럼 금속과 배터리, 모터 등 기계로 이뤄진 것을 로봇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런데 조만간, 사람과 같은 피부나 근육으로 만들어진 로봇이 등장할지도 모르겠어요. 과학자들이 ‘바이오 하이브리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거든요. 사진 1. 과학자들은 사람의 세포나 조직을 이...
-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눈으로 뒤덮인 극지를 보면, 금방이라도 손발이 얼어붙을 것 같아요. 그런데 북극에 살고 있는 북극곰은 따뜻한 옷을 입은 것도 아닌데, 강추위에도 멀쩡합니다. 심지어 물속에 들어갔다 나온 후에도 털이 얼어붙지 않아요. 추운 겨울, 머리카락을 제대로 말리지 않고 나가면 머리카락이 곧바로 얼어붙는 우리와 딴판인 셈이죠. 그렇다면 북극곰의 털은 대체 왜 얼어...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그려낼 스피어엑스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 [과학향기 for Kids] 2025년, 푸른 뱀의 해…뱀은 어떤 동물일까?
- [과학향기 for Kids] 거제에서 첫 발견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 [과학향기 for Kids] 다리로 걷고 ‘맛집’까지 찾는 물고기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지구에도 아름다운 고리가 있었다?
- [과학향기 for Kids] 가을에는 왜 나뭇잎이 알록달록 물들까?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