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제대혈, 꿈의 신약 원료인가?

<KISTI의 과학향기> 제21호   2003년 08월 29일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태반과 탯줄을 신성시 여겨왔다. 이 때문에 아이를 출산한 후 얻어진 태반과 탯줄을 소홀히 다루지 않고 태반 항아리(태항)에 담아 정결한 곳에 묻는 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왕실에서는 아이가 태어나면 태반을 깨끗이 씻어 백자 항아리에 담아 밀봉한 뒤 성대한 의식을 거행하고 고이 보관했다고 하니 태반과 탯줄에 대한 믿음은 계급이나 계층에 상관없이 일반화 돼 있었던 것 같다. 요즘 들어서는 태반과 탯줄뿐만 아니라 탯줄의 혈액인 제대혈(Cord blood)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제대혈은 골수와 곧잘 비교가 되곤 하는데, 이는 골수처럼 두 종류의 줄기세포(Stem cell)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조혈모 세포와 간엽줄기 세포가 그것인데, 줄기세포 중 혈액을 만드는 ‘조혈모 세포’를 이식하면 백혈병이나 폐암, 유방암, 재생 불량성 빈혈 등을 치료할 수 있다.

제대혈을 구성하는 또 다른 세포인 ‘간엽줄기 세포’는 관절, 뼈, 각종 장기, 신경, 근육을 만들어 내며, 이 세포는 신경계 질환, 심근경색증, 간질환 등의 치료를 가능케 한다. 특히 제대혈은 조직적합성 항원 6개 가운데 최소 3~4개만 맞아도 이식이 가능해, 항원이 하나만 맞지 않아도 이식이 불가능한 골수와 차이점을 갖고 있다. 제대혈이 각광 받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제대혈을 활용하면 어떠한 병이든 고칠 수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은 실망스럽겠지만 ‘아니다’ 이다. 보통 제대혈은 50~100㎖을 뽑으며 이는 대부분의 환자가 한번만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아기 탯줄로부터 받을 수 있는 혈액은 그리 많지 않다. 보통 체중이 30~60kg인 사람 이 한번 사용할 수 있는 정도 양만 보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주로 15세 이하 연령의 사람들을 위해 대비한다는 말이 나왔다. 고칠 수 있는 병도 주로 골수 이식과 관련된 병들이 그 대상이라고 보면 된다. 또한, 제대혈은 조직접합성이 맞지 않으면 사용하지 못한다. 실제로 동생 제대혈을 형에게 쓰려다 조직접합성이 맞지 않아 포기한 사례도 있다.



그렇다면 쌍둥이 일때는 제대혈을 함께 쓸 수 있을까? 일란성 쌍둥이는 제대혈을 같이 쓸 수 있지만, 이란성 쌍둥이는 따로 채취해야 쓸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제대혈 보관회사들은 일란성이나 이란성 쌍둥이 모두 따로 제대혈을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유는 제대혈은 단 한번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대혈을 한 아이에게 이식했다면 다른 쌍둥이 아이의 질병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둘 다 보관하는 것이다.



인체와 난치병의 관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다. 과학의 진보는 난치병들의 일부를 극복하게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 새로운 제대혈의 이용을 통해 우리는 인체의 신비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볼 수 있었던 계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된다.(과학향기 편집부)
평가하기
권순직
  • 평점   별 3점

제대혈이 만병통치약은 아니였군요. 요즘 신생아 태어나면 제대혈 채취는 거의 필수 인것 같더군요. 그래도 제대혈로 고칠 수 있는 병이 있기에 필요하다고는 생각합니다.

2009-04-14

답글 0

이미란
  • 평점   별 5점

저도 제대혈에 대해 관심이 많은데요. 얼마전 기사를 보니 제대혈을 체취하여 보관한다고 하여 모두 사용할수 있는것이 아니고 버려지는 제대혈도 많고, 또 병에 걸렸을때 본인의 제대혈로 치료를 한다해도 유전적으로 병에 걸린경우 제대혈자체도 그런 유전을 가지고 있을수 있어 위험할수도 있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의 수명이 점차 연장되고, 인간의 불치명이나 난치병들도 많이 사라지는 날이 오겠지요..

2009-04-02

답글 0

이지민
  • 평점   별 5점

항상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

2009-04-01

답글 0

과학향기팬
  • 평점   별 4점

탯줄을 만병통치약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였네요. 그것 빼고는 모두 다 정말 대단하네요. 앞으로도 좋은 내용 부탁해요.

2003-09-01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