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24
[과학향기 for Kids] 피를 에너지로? 흡혈박쥐만의 놀라운 생존법!
[과학향기 for Kids] 피를 에너지로? 흡혈박쥐만의 놀라운 생존법!
영화와 소설 속에 등장하는 무시무시한 뱀파이어는 날카로운 이빨로 사람들의 목을 물어뜯어 피를 마십니다. 그런데 실제로 뱀파이어처럼 피를 마시는 동물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동물의 정체는 바로 ‘흡혈박쥐’입니다. 사진 1. 흡혈박쥐는 마치 영화나 소설 속 뱀파이어처럼 피를 마시는 동물이다. ⓒshutterstock 피를 마시는 박...
More7월
2023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에서 약 만드는 시대 온다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에서 약 만드는 시대 온다
우주에서 약을 만들어 지구로 가져오는 최초의 ‘우주 약 공장’ 실험이 시작됐다. 미국의 우주 스타트업 ‘바르다 스페이스 인더스트리(Varda Space Industries, 이하 바르다)’는 현지 시각으로 지난 6월 12일, 이 실험을 수행할 위성 ‘더블유-시리즈 1(W-Series 1)’을 스페이스X의 로켓에 실어 지구 저궤도로 보냈다. 바르다의 목...
More8월
2021
생물학 혁신, 단백질 구조 예측하는 인공지능의 시대
생물학 혁신, 단백질 구조 예측하는 인공지능의 시대
과학에서 위대한 발견은 탁월한 방법과 엄청난 집념을 거름 삼아 탄생한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는 사람들의 희망과 감동, 불안과 우려가 뒤섞여 있다. 최근 이러한 만감이 교차될 법한 과학 뉴스가 연달아 소개되었다.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그리고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면서도 우리 일자리를 위협하는 인공지능에 관련된 이야기다. 알파폴드2, 단백질...
More4월
2020
코로나-19는 왜 전염성이 강할까?
코로나-19는 왜 전염성이 강할까?
코로나-19의 확산이 쉽게 끝날 것 같지 않다. 사스와 메르스와는 다르게 발병 초기 전염력이 강하고, 게다가 연구에 따르면 무증상 감염자도 있다. 코로나-19는 마치 인간을 전염시키기 위해 진화한 바이러스 같다. 코로나-19의 전염력이 강한 이유를 알아야 그에 맞게 대처할 수 있을 터. 과학자들은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를 뛰어 넘는 코로나-19의 ...
More10월
2018
나노기술로 피부 주름 없앤다? 미용과 나노기술
나노기술로 피부 주름 없앤다? 미용과 나노기술
‘주름 없는 피부’, ‘백옥같이 하얀 피부’를 마다하는 사람이 있을까. 이 때문에 TV나 인터넷에 등장하는 수많은 화장품 광고는 젊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려는 사람들의 욕구를 파고든다. 화장품 회사들이 광고 모델로 전지현, 손예진, 장동건, 정해인 등 당대 톱스타를 기용하는 것도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서 아니겠는가. 그런데 정말 화장품...
More11월
2017
거미줄을 인공적으로 생산할 가능할까
거미줄을 인공적으로 생산할 가능할까
과학자들이 거미의 유전체를 분석해 거미줄의 비밀에 한발짝 더 다가갔다. 현재의 기술로는 거미줄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언제가는 가능할 지도 모른다.
More8월
2016
음료수로 갈증 해소가 어려운 이유
음료수로 갈증 해소가 어려운 이유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몸속 수분이 부족해지기 쉽다. 땀을 흘리는 만큼 물을 많이 마셔야 하는데, 그것도 쉽지가 않다. 실제로 대다수의 사람들은 몸 속 수분이 부족하다. 실제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하루 물 섭취량은 1L, 여성은 860ml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하루 권장 섭취량인 2L에 한참 못 미치는 양이다...
More4월
2016
울퉁불퉁 근육질, 체력과 일치하지 않는다!
울퉁불퉁 근육질, 체력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뜻한 봄과 함께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운동의 목적은 다양하지만 복합적인 경우가 많다. 체력도 키우면서 다이어트를 하거나 근육질 몸매를 만들고 싶어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체력의 근간이 되는 근력(筋力)과 울퉁불퉁한 근육질은 정비례하지 않는다. 근육량에 따라 근력이 증가하는 건 맞지만 근력은 근육량만으로 결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근육량...
More2월
2016
곤충은 유망한 미래 식량, 혐오감이 과제
곤충은 유망한 미래 식량, 혐오감이 과제
2015년 7월 14일, 한 요리대회에서 요리사 모자에 하얀 앞치마를 두른 사람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요리를 하고 있었다. 어떤 이는 윤기가 흐르는 자장면을, 또 어떤 이는 아이들 간식용 김밥과 핫도그를 만드는 중이었다.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요리들을 구경하던 중 조리대 위에 놓여 있는 한 재료를 발견하곤 나도 모르게 눈살을 찌푸렸다. 그건 바로 혐오의 아...
More9월
2015
[COOKING의 과학] 황금빛 가을철 영양과 맛의 보고, 대하
[COOKING의 과학] 황금빛 가을철 영양과 맛의 보고, 대하
먹는 것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일이죠. 모두가 어려웠던 옛날에는 무조건 많이 먹는 것이 우선이었지만, 요즘 트렌드는 맛있는 음식을 건강하게 먹는 것입니다. 그런 트렌드를 반영하듯, TV 프로그램에서는 요리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늘어났고, 최근에는 메인 시간대에 편성되면서 대중의 인기를 받고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블로그나 카페에 다양한 요리법이나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