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두껍아 두껍아 새집 줄게 헌집 다오?
<KISTI의 과학향기> 제51호 2003년 11월 07일
‘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게 새집 다오’
어린시절 손등에 모래를 잔뜩 쌓아놓고 단단하게 만들면서 두껍이에게 새집과 헌집을 바꾸자던 노래 중의 일부이다. 지금이야 도시 생활을 하면서, 흙 자체를 만져보기도 힘든 세월을 살고 있지만 이 노래 가사에는 어린 시절 새집에 대한 아이들의 기원과 기대가 고스란히 배어 있다.
하지만 현대를 살아가면서, 특히 외부와 차단된 아파트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새집에 대한 기대는 일시에 무너지고 있다. 아이들의 부푼 기대와는 달리 새집일수록 각종 유해물질이 다량으로 뿜어져 나오기 때문이다.
새집에서 방출되는 유해 물질은 300여 가지가 넘을 정도로 새집은 유해 물질의 ‘저장고’나 ‘종합세트’로 불려지고 있다. 이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나 포름알데히드(HCHO)등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실제 새로 입주하는 아파트에서 화학물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안방 옷장 앞에서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0.65ppm으로 세계보건기구 기준치보다 8.1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던져 주고 있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벤젠과 톨루엔의 배출량도 기준치보다 4.4배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이 때문에 분양을 앞둔 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 근무하던 도우미들이 갑자기 쓰러지는 일들이 종종 일어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없을까?
애석하게도 아직까지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나와 있지 않다. 다만, 배출된 유해물질과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기를 자주 시켜야 한다. 요즘 아파트들은 단열뿐 만 아니라 방음 기술까지 가미돼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거의 단절된 상태이다. 따라서 창문을 열어 실내 공기를 자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내 공기 가열 방법이 있다. 이는 난방 기구를 통해 실내 온도를 높여서 가구, 바닥, 벽지 등 깊숙이 묻어있는 각종 유해물질을 빼내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입주 초기에 난방을 많이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광촉매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빛을 쪼이면 자신은 변화지 않고 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염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물질인 광촉매 물질을 건자재에 바르면 유해 물질을 분해해 뽑아낼 수 있다고 한다.
현재 대표적인 광촉매 물질로는 이산화티타늄이 있는데, 이 이산화티타늄은 태양광이나 형광등의 자외선을 받으면 마치 태양전지의 원리처럼 음전기를 가진 전자(e-)와 양전기를 가진 정공(h+)이 형성된다. 정공은 특히 강력한 산화작용을 하는 수산화물을 형성해 살균용 염소나 오존보다도 강한 산화력을 만들어 내 유해 물질을 제거 하는 방식으로 최근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자외선을 필요로 해 아파트 입지가 햇빛이 들지 않을 경우 그 효과가 떨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아파트의 시공이 끝난 뒤 취해지는 방법들로 임시 방편적이다. 보통 30평 아파트의 경우 사용되는 화학 접착제만 30kg에 이른다고 하니 이런 방법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이처럼 과학의 진보로 잉태된 산업 사회는 ‘신선한 공기가 한줌의 햇빛보다 더 소중하다’는 교훈을 우리에게 던져 주고 있다. 이 때문에 옛날 어린 아이들이 새집에 대한 기대와 희망으로 불렀던 ‘헌집 줄게 새집 다오’의 노래가 과학기술의 진보로 오히려 새집 줄게 헌집 다오로 바뀌지 않게 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과학향기 편집부)
어린시절 손등에 모래를 잔뜩 쌓아놓고 단단하게 만들면서 두껍이에게 새집과 헌집을 바꾸자던 노래 중의 일부이다. 지금이야 도시 생활을 하면서, 흙 자체를 만져보기도 힘든 세월을 살고 있지만 이 노래 가사에는 어린 시절 새집에 대한 아이들의 기원과 기대가 고스란히 배어 있다.
하지만 현대를 살아가면서, 특히 외부와 차단된 아파트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새집에 대한 기대는 일시에 무너지고 있다. 아이들의 부푼 기대와는 달리 새집일수록 각종 유해물질이 다량으로 뿜어져 나오기 때문이다.
새집에서 방출되는 유해 물질은 300여 가지가 넘을 정도로 새집은 유해 물질의 ‘저장고’나 ‘종합세트’로 불려지고 있다. 이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나 포름알데히드(HCHO)등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실제 새로 입주하는 아파트에서 화학물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안방 옷장 앞에서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0.65ppm으로 세계보건기구 기준치보다 8.1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던져 주고 있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벤젠과 톨루엔의 배출량도 기준치보다 4.4배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이 때문에 분양을 앞둔 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 근무하던 도우미들이 갑자기 쓰러지는 일들이 종종 일어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없을까?
애석하게도 아직까지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나와 있지 않다. 다만, 배출된 유해물질과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기를 자주 시켜야 한다. 요즘 아파트들은 단열뿐 만 아니라 방음 기술까지 가미돼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거의 단절된 상태이다. 따라서 창문을 열어 실내 공기를 자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내 공기 가열 방법이 있다. 이는 난방 기구를 통해 실내 온도를 높여서 가구, 바닥, 벽지 등 깊숙이 묻어있는 각종 유해물질을 빼내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입주 초기에 난방을 많이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광촉매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빛을 쪼이면 자신은 변화지 않고 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염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물질인 광촉매 물질을 건자재에 바르면 유해 물질을 분해해 뽑아낼 수 있다고 한다.
현재 대표적인 광촉매 물질로는 이산화티타늄이 있는데, 이 이산화티타늄은 태양광이나 형광등의 자외선을 받으면 마치 태양전지의 원리처럼 음전기를 가진 전자(e-)와 양전기를 가진 정공(h+)이 형성된다. 정공은 특히 강력한 산화작용을 하는 수산화물을 형성해 살균용 염소나 오존보다도 강한 산화력을 만들어 내 유해 물질을 제거 하는 방식으로 최근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자외선을 필요로 해 아파트 입지가 햇빛이 들지 않을 경우 그 효과가 떨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아파트의 시공이 끝난 뒤 취해지는 방법들로 임시 방편적이다. 보통 30평 아파트의 경우 사용되는 화학 접착제만 30kg에 이른다고 하니 이런 방법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이처럼 과학의 진보로 잉태된 산업 사회는 ‘신선한 공기가 한줌의 햇빛보다 더 소중하다’는 교훈을 우리에게 던져 주고 있다. 이 때문에 옛날 어린 아이들이 새집에 대한 기대와 희망으로 불렀던 ‘헌집 줄게 새집 다오’의 노래가 과학기술의 진보로 오히려 새집 줄게 헌집 다오로 바뀌지 않게 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과학향기 편집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과학향기 Story] 어디서든 인터넷을 쓸 수 있다…스타링크, 한국 통신 시장 뒤엎나
- 전 지구를 초고속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드디어 국내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타링크 서비스의 국경 간 공급 협정 승인을 위한 ‘주파수 이용 조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타링크의 모회사인 스페이스X와 순조롭게 협의가 이뤄지면 다가오는 3월에 국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과연 스타링크는 국...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 [과학향기 for Kids] 2025년, 푸른 뱀의 해…뱀은 어떤 동물일까?
- [과학향기 for Kids] 다리로 걷고 ‘맛집’까지 찾는 물고기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가을에는 왜 나뭇잎이 알록달록 물들까?
- [과학향기 for Kids]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 [과학향기 for kids] 여름철, 어김없이 장마가 찾아오는 이유는?
- [과학향기 Story] 세상을 점령한 바퀴벌레도 고향이 있다
새집증후군에 대한 이야기군요. 모델하우스 도우미가 쓰러질 정도라니...새집으로 이사하면 환기도 자주시키고 실내온도를 높이고, 광촉매 물질을 사용해야 겠네요. 좋은 정보였습니다. 자신이 직접 집을 지어서 산다면 친환경소재를 많이 이용해서 집을 지을수 있지만, 요즘은 대부분 아파트에서 사니까 이런 유해물질 제거 방법을 알아두고 이용해야 되겠어요.
2009-04-14
답글 0
인체에 유해한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없을까? 이런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집을 지으면 되겠지요? 그런데 현대 건축물을 그렇게 짓기란 거의 불가능 하니 걱정이네요. 이런 유해물질때문에 아이들의 아토피가 늘어가고있다고 하더라구요.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는 건축자재등도 과학기술의 힘으로 빨리 만들어 지면 좋겠어요
2009-04-13
답글 0
좋은 점 깨우쳐 주셨습니다. 그것도 모르고 새집 냄새가 좋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공기청정기 같은 것은 효과가 없나요? 에어콘에 부착되어 나오는 것도 있다고 하는데...
답변 부탁합니다.
2003-11-07
답글 0
요즘 나오는 공기청정기 중 일부는 오염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 즉 담배연기, 아황산가스(SO2) 질소화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등 각종 유기물질들(양이온)을
음이온 공기청정기에 의해 발생된 음이온으로 이들 양이온들을 중화(Neutralization)침전시켜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들도 있다고 합니다.
어느정도 효과가 있을 듯합니다. 그보다 새집의 경우, 일정기간동안 환기가 필수적인 것 같고요, 숯이나 식물등을 기르는 것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데요. 짧은 제 소견입니다.
2003-11-07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