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대기 중 CO₂ 농도 400ppm, 지구 온도에 빨간불!

<KISTI의 과학향기> 제1879호   2013년 06월 03일
1958년 3월, 313ppm.
2013년 5월, 400ppm.


미국 하와이 마우나 로아(Mauna Loa) 관측소에서 최초로, 그리고 가장 최근에 측정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 농도다. 이 기록은 55년이라는 시간 동안 대기 중 CO₂ 농도가 무려 87ppm이나 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만큼 지구 온도는 높아졌고 이상기후 현상도 많아졌다.

여기서 더 중요하게 살펴야 할 부분은 가장 최근 기록인 ‘400ppm’이다. 지난 2007년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가 제시한 마지노선이기 때문이다. IPCC는 지구 온도를 산업혁명 이전보다 섭씨 2도 이상 높이지 않으려면 대기 중 CO₂ 농도가 400ppm을 넘지 않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래야 그나마 지금의 지구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최근 세계 각지에서 측정한 CO₂ 농도가 400ppm을 넘긴 데다 마우나 로아 관측소 기록까지 이 선을 넘어버렸다. 2013년 5월 9일에는 400.03ppm으로 발표됐고, 가장 최근 측정값인 5월 27일치는 400.27ppm이었다. 지구 온도가 섭씨 2도 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빨간색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55년 간 살펴본 지구 상태 진단서, ‘킬링 곡선’

마우나 로아 관측소의 기록이 특히 중요한 경고가 되는 까닭은 ‘킬링 곡선(Keeling Curve)’에 있다. 이 그래프는 1958년부터 마우나 로아 관측소에서 측정한 대기 중 CO₂ 농도의 추세를 나타내는데, 매년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며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1950년대 말에는 연간 0.7ppm 꼴로 높아지다가, 최근 10여 년 동안에는 매년 2.1ppm씩 높아지고 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등 인간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CO₂ 농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지구 온도도 높아지고 있다는 걸 잘 보여주는 ‘지구 상태의 진단서’인 셈이다.

[그림] 미국 하와이의 마우나 로아 관측소에서 대기 중 CO₂농도를 측정한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킬링 곡선. 1958년 3월 313ppm이었던 CO₂농도는 2013년 5월 27일 400.27ppm으로 측정됐다. 출처 : 미국 Scripps 해양과학연구소.

이런 귀한 자료가 만들어지게 된 건 1958년 당시 서른 살이었던 젊은 화학자 찰스 데이비드 킬링(Charles David Keeling) 박사 덕분이다. 그가 맨 처음 마우나 로아 화산 중턱 해발 3,397m에 세워진 관측소에서 수집한 공기를 분석해 대기 중 CO₂ 농도를 밝혀냈기 때문이다.

처음 1년 동안 측정한 CO₂ 농도는 평형을 찾는 것처럼 보였다. 식물의 광합성 등의 영향으로 대기 중 CO₂ 농도가 높아졌다 낮아지기를 반복했던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더 흐르자 CO₂ 농도가 확실히 늘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2005년 77세로 죽을 때까지 이 작업을 지속했으며, 이후에는 그의 아들이 이 일을 계속하며 지구 상태를 꾸준히 살피고 있다.

결국 마우나 로아 관측소에서 CO₂ 농도가 400ppm을 기록했다는 점은 중요한 경고다. 이런 속도로 CO₂ 농도가 늘어난다면 곧 450ppm도 넘을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지구 온도도 섭씨 2도 높아져 생태계에 심각한 타격이 올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지구온난화 여유 온도는 0.65도, 마지막 시간 벌었나?

지구 생태계를 어느 정도 유지하기 위해 IPCC에서 제시한 지구온난화의 기준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산업혁명 이전보다 섭씨 2도 이상 높아지지 않는 것’ 이다. 현재 여기까지 남은 여유는 섭씨 0.65도에 불과하다.

이미 지구 온도가 섭씨 0.75도 높아졌고, 앞으로도 섭씨 0.6도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섭씨 0.6도 상승은 2005년 국립기상연구소의 기후변화모델로 온실가스와 에어로졸 농도를 고정시키고 미래를 전망한 결과 나온 값이다. 그러니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남은 여유는 섭씨 0.65도뿐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소식은 지구온난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딜 수 있다는 연구결과다. 영국 옥스퍼드대 환경변화연구소(Environmental Change Institute)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진은 지구 온도가 높아지는 게 생각보다 느리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2013년 5월 19일자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실었다.

2007년 IPCC는 지구온난화에 따라 히말라야 빙하가 오는 2035년까지 완전히 녹아 없어질 수 있고, 지구 온도가 단기간에 섭씨 1~3도 높아질 거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그 상승폭이 섭씨 0.9~2.0도 정도일 것으로 예상돼 최대 섭씨 1도 차이가 났다. 또 향후 수 십 년간 전 세계 평균 기온은 예상치의 약 20% 정도만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진은 그 이유를 최근 바다가 대기 중의 열 흡수를 크게 늘린 데서 찾고 있다. 지난 10년 간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열을 흡수해 대기 중 CO₂ 농도가 400ppm을 돌파하는 와중에도 지구온난화 속도가 느려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언젠가는 바다가 열을 흡수하는 일을 멈추게 되면 대기의 상황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구온난화를 경계하는 고삐를 늦춰서는 안 된다. 지금처럼 온실가스 배출 규모가 늘어나면 지구 온도가 섭씨 2도 이상 높아지는 건 여전히 시간문제일 수 있다. 결국 약간의 여유는 생겼지만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덜 할 이유는 없다는 이야기다.

이미 400ppm이라는 위험한 지점을 넘어서고 말았지만 아직 완전히 늦지는 않았다. 지구와 지구상 모든 생명체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는 결말을 맞을 수 있도록 오늘부터 지구 살리기에 동참하는 건 어떨까.

반세기 세월을 하와이 화산 위에서 묵묵히 CO₂ 농도를 측정한 킬링 박사가 꿈꾼 건 어쩌면 매번 꼬물꼬물 올라가는 킬링 곡선의 기울기가 조금이라도 누그러지는 것이었을지 모른다.

글 : 박태진 과학칼럼니스트
평가하기
이준희
  • 평점   별 5점

바다 속의 한류나 난류 길목에 냉각봉을 심어 버리면 어떨까요? 바닷 속의 류속을 이용한 수중 발전기와 그것을 이용한 냉각장치... 영국해협과 인도양 그리고 일본열도 이렇게 세군데 지점에만 설치해도 크게 효과가 있지 않을까요? 작은 상상에서 변화가 시작 될 수도... 그러나 바닷물의 길목이 바뀌는 불상사가 생긴다면 어쩌면 더 큰 재앙으로 바뀔지도 모르겠네요...

2013-08-07

답글 0

차이나패스
  • 평점   별 5점

분명히 인간들 때문에 지구가 변하고 있는건 맞는데 지금도 더 심화되고만 있으니 답답하구만요...^^

2013-06-12

답글 0

김동환
  • 평점   별 5점

벌써 이정도로 심각한줄 몰랐습니다.

2013-06-09

답글 0

이태욱
  • 평점   별 5점

....ㅎㅎㅎㅎ나름의 결론은 강대국 미국과 엄청난 신진제력의 중국으로 종결?....

2013-06-05

답글 0

옥성원
  • 평점   별 5점

킬링곡선 이라기에 죽음의 곡선인줄만 알았는데 ㅎㅎ
박사님 이름이라니 ㅋㅋ
이산화 탄소 배출도 여로모로 줄이는 연구를 해야겠지만
적극적인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회수해서 연료에너지대신 사용하는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있다는 것
팽창계수가 높은 이산화탄소로 액체로 저장했다 기체화시키는 에너지로 자동차를 움직인다면 필요조건을 충족하기위해 탱크를 만들고 저장하게 된다는 것이죠 주유소처럼 충전소가 늘어나는 만큼 회수량이 많아진다는 것입니다.
어떤나라는 땅속에 묻는다는데 그 비용을 누가 다 감당하겠습니까.사용자보다 회수량이 많아진다면 이용가치가 있다고 보는것이죠. 또 다른 방법으로 바다생물을 다시 살려서 원상태로 돌리기 위한 방법으로 적도 쓰레기섬을 재생하는 것이죠 더이상 팔곳을 잃은 시추선을 쓰레기 재생장치로 사용하는 방법이죠 태양열 발전기를 장착하고 쓰레기를 회수해서 재생어너지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또한 한 국가가 진행은 못하겠지만 다같이 힘을 합치면 바다를 살리고 이산화탄소는 줄어들고 에너지는 회수하는 결과를 만들 수 있겠다는 것입니다.
조선산업에 투자를 많이한 우리나라는 이런 사업에 앞장서 큰나라투자를 받는것도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조금이라도 공감이 될런지는 ㅎㅎ

2013-06-04

답글 0

박일규
  • 평점   별 5점

지구 온난화와 CO2는 무관하다는 연구는 거의 대부분 미국에서 주도적으로 연구되고 이슈화 되고 발표 됩니다. 정치`경제적인 이유에서죠. 미국의 경우 현재 전세계 CO2 배출양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 하고 있어서 국가적인 차원으로 이산화 탄소와 온난화는 상관 없다는 쪽으로 연구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이산화탄소설을 미국 입장에서 인정을 하게 되면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양의 거의 20%정도를 차지 하고 있는 미국에 여러 제한 조건들이 걸릴거고 그럼 국가에 타격이 있을 테니까요.
물론 중국이 혼자 킹왕짱 1/3 넘을 겁니다만...

중국 미국만 감축해도 될정도 입니다.

2013-06-04

답글 0

정진우
  • 평점   별 5점

Co2는온도가올라가는것. 즉 지구온난화현상에 관련이 깊은걸로 알고있는데요?
Co2는 이산화 탄소로, 지구의 대기권에 위치하며 태양빛이 지구에 들어오면 그중 일부의 열이 빠져나가는것이 순리이지만, 이산화탄소는 그 열이 빠져나가는것을 막아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상관이 없다니요....

2013-06-04

답글 0

최가현
  • 평점   별 5점

co2 생각 보다 무시무시 한거 네요 이제부터라도 지구를 위해 관심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013-06-04

답글 0

윤승환
  • 평점   별 5점

방심하고 있다가는 큰 코 다친다는 이야기겠지요...! 우리 모두 이러한 사태에 대비를 해야겠습니다.

2013-06-04

답글 0

문원균
  • 평점   별 1점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110118004056&subctg1=02&subctg2=01

링크를 따라가보면 아시겠지만, 공기 중의 CO2와 지구 온도의 상관관계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인위적으로 발생한 CO2때문에 지구온난화가 발생한다는 주장에 대해 확단하기는 이르다는 것이 학계의 의견입니다.

2013-06-04

답글 0

한병용
  • 평점   별 1점

젤 최근에 미국에서 나온 연구 결과에 따르면 CO2 와 온도 올라가는건 관련 없다고 나오는데...이건 뒷북인가?

2013-06-04

답글 0

김옥주
  • 평점   별 5점

읽고보니 참 겁이 나내요 우리 모두 CO에 대하여 관심을 갖어야 하겠습니다

2013-06-03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